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조직 개편 문제에 대해 “될지 안 될지부터 해서 여러 가지 측면에 대해 아직 더 논의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지 않고 에너지 정책 기능을 산업부에 남기는 방안도 고려되고 있다는 것으로 해석된다.
김 장관은 21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들을 만나 기후에너지부 신설 문제와 관련해 “국정기획위와 긴밀히 논의 중”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국정기획위는 이재명 대통령 대선 공약에 따라 산업부에서 에너지실 기능을 떼어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방안을 검토한 바 있다.
김 장관은 “대통령의 공약은 기후 변화에 대응하는 정책적 모멘텀이 필요하다는 것”이라며 “그것은 분명히 맞는 이야기”라고 강조했다. 그는 “조직 개편은 우리 부가 잘된다는 측면뿐 아니라 우리나라에 도움 돼야 한다는 차원에서 생각해야 한다”며 “조금 더 지켜봐 달라”고 말했다.
앞서 김 장관은 자신의 인사청문회에서도 “산업과 에너지가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체제를 갖추고 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기후에너지부 신설과 관련해 “굉장히 걱정하고 있다”고 사실상 반대 목소리를 냈다.
김 장관은 취임사에서도 친환경 에너지정책의 중요성을 부각했다. 김 장관은 “산업 대전환 시대에 기업과 산업의 생존은 저렴하고 깨끗한 양질의 에너지를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느냐에 달려있다”며 “친환경 에너지를 중심으로 에너지 안보를 확보하고 탄소 중립을 실현해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원전에 대해서는 “에너지 가격 안정, 탄소중립 달성, 글로벌 수출 등 측면에서 중요성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며 “안정성과 수용성을 바탕으로 차질 없이 추진하자”고 당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