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흘간 쏟아진 집중호우에도 경북 초대형 산불 피해 지역에서는 별다른 추가 피해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산불로 약해진 지반 탓에 집중호우로 인한 산사태, 토사 유출 등 2차 피해가 우려됐으나 다행히 피해를 입지 않았다.
20일 경북도에 따르면 최근 쏟아진 폭우에도 의성, 안동, 청송, 영양, 영덕 등 지난 3월 초대형 산불 피해 지역에서는 별다른 피해가 접수되지 않았다.
경북도와 시·군 공무원 등 관계자 3178명이 집중호우에 따른 비상근무에 돌입했고 호우 특보 해제(지난 19일 오후 9시) 시점까지 최고 수준 대응 체계를 유지했다.
특히 22개 시·군 3445개 마을에서는 마을순찰대가 전면 가동돼 피해 예방에 큰 역할을 했다는 평가다.
마을순찰대는 일반대원 4167명과 공무원 1529명 등 5696명으로 구성돼 있다.
지난 16일부터 마을을 돌며 취약계층 주민들의 안전을 확인한 이들은 17일부터 19일까지 경북 관내 주민을 사전 대피시켜 인명피해를 막았다.
지역별로는 포항(96명), 경주(18명), 영주(42명), 상주(21명), 경산(30명), 영양(2명), 청도(174명), 고령(145명), 성주(16명), 칠곡(3명) 등 10개 시·군에서 395가구 547명이 대피했다.
대피 장소는 경로당, 마을회관, 문화센터, 모텔 등 81곳이다.
대피한 주민에게는 구호 물품과 모포 담요, 급식, 생필품, 식음료 등이 제공됐다.
산불 피해지역 임시 조립주택 95곳에 대해서도 상황 점검이 이뤄졌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다행히 비는 그쳤지만, 여전히 위기관리는 지속돼야 한다”며 “강수 이후에 취약지역에 대한 점검을 계속하고 예찰활동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경북에서는 이번 장마 기간 고령·의성군에서 고립된 주민 3명이 구조됐고, 청도 등에서 저수지 제방과 도로가 유실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