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최대 통신장비 업체인 화웨이와 연계된 반도체 장비 제조 업체 사이캐리어(SiCarrier)가 약 4조 원 규모의 자금 조달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다. 반도체 기술 자립을 위한 중국의 움직임이 한층 빨라지는 양상이다.
14일 로이터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사이캐리어가 자금 조달에 나섰으며 규모는 28억 달러(약 3조 9600억 원)에 달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사이캐리어는 화웨이의 반도체 장비 제조 부문에서 설립된 회사로, 화웨이의 반도체 설계 부서 직원들이 파견되는 등 두 회사가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사이캐리어는 올 3월 상하이에서 열린 반도체 국제 전시회 ‘세미콘 차이나’에 30종의 반도체 장비를 공개하며 주목받기 시작했다. 2021년 설립된 사이캐리어는 선전시 정부가 소유한 업체로, 회사 가치는 800억 위안(약 15조 7000억 원)으로 평가되고 있다. 선전시는 지분 약 25%를 매각할 계획이다.
다만 사이캐리어가 일본 도쿄일렉트론, 미국 램리서치·KLA 등을 벤치마킹하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양산 수준에 이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미국의 수출통제로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 기업 ASML의 장비를 도입하지 못하자 멀티패터닝 기술을 활용해 극자외선(EUV) 리소그래피를 우회하려는 전략을 세우고 있지만 이 역시 쉽지 않은 상황이다.
사이캐리어가 화웨이 관계사라는 점에서 고객들이 구매를 꺼릴 수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로이터는 소식통을 인용해 “가장 큰 문제는 제품 자체가 아니라 고객이 장비를 사용할 때 화웨이가 그들의 공정 파라미터를 알 수 있다는 점”이라며 “사이캐리어가 성장하려면 화웨이와 분리돼야 하지만 이 경우에도 제품 검증과 개선에 수년이 소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이날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선전시가 50억 위안(약 9800억 원) 규모의 반도체 전용 펀드를 만들었다며 선전시와 선전시 룽강구 지방정부가 출자하고 국유기업인 선전캐피털그룹이 운용을 맡았다고 보도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