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창용 한국은행 총재의 양적완화(QE) 발언에 후폭풍이 일자 한은이 재차 뒷수습에 나섰다.
최용훈 한은 금융시장국장은 13일 블로그 게시글에서 "한은이 대차대조표를 급격히 확대해 본원 통화가 대규모로 공급될 경우 (즉 양적완화에 나설 경우) 비기축통화국인 우리나라는 통화가치 하락, 외환시장 변동성 및 자본유출 증대 등에 직면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우리나라는 주요국에 비해 국채 발행량이 상대적으로 크지 않아 채권시장 왜곡 가능성이 높고 신용 창출 과정에서 자산시장이 과열될 우려도 존재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글은 지난달 30일 한은과 한국금융학회가 공동 주최한 정책 심포지엄에서 이 총재가 양적완화를 언급하면서 벌어진 논란에서 시작됐다. 당시 이 총재는 심포지엄 환영사에서 “우리나라도 선진국처럼 정책금리가 제로 하한 수준에 근접하게 되면 양적완화 정책을 도입할 수 있을지, 도입하는 것이 바람직한지 등을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고 언급했다.
시장 참가자들은 이를 토대로 최종 금리가 더 낮아질 가능성에 베팅하기 시작했고 당일 서울 채권시장에서 국고채 금리가 연중 최저치를 경신하는 등 상당한 파장을 낳았다. 이에 한은은 참고자료를 배포해 “한은이 시중에 직접 돈을 푸는 양적완화를 검토하고 있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고 일축했다.
한은이 이러한 뒷수습에 나선건 이번이 두 번째인 만큼 시장에 끼친 영향력을 심각하게 바라본 것으로 읽힌다.
한편, 이 총재는 이달 5일 기자간담회에서 자신의 양적완화 언급은 중장기적 통화정책에 관한 고민이었다면서 "왜 갑자기 지금 통화정책과 연결 짓는지 모르겠다. 당황스럽다"는 반응을 보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