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7월말까지 추가경정예산의 70%를 조기 집행하기로 했다. 내수 침체와 관세 전쟁에 따른 수출 경기 둔화로 위축되고 있는 경기에 대응하기 위해 재정 집행의 속도를 끌어올리겠다는 취지다.
김범석 기획재정부 장관 직무대행은 8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열고 ‘2025년 추경예산 집행계획’을 논의했다.
정부는 산불 등 재해·재난 대응과 통상 및 인공지능(AI) 경쟁력 제고, 민생지원 등을 위해 13조8000억원 규모의 추경을 편성했다. 추경안은 지난 1일 국회를 통과한 데 이어 이튿날 국무회의에서 배정 계획까지 의결됐다. 이번 추경안은 국회 제출부터 의결까지 11일 만에 진행되며 최근 20년 내 가장 빠른 처리 속도를 기록했다.
정부는 추경 집행에서도 속도전을 이어가기로 했다. 총 13조8000억원의 예산 가운데 70%인 12조원을 신속집행 관리 대상으로 설정해 3개월 내 집행할 예정이다. 올해 말까지 전액 집행 목표도 세웠다.
신속집행 관리대상을 분야별로 살펴보면 재해·재난에 배정된 1조7000억원 중 54.1%인 9000억원을 재해·재난대책비, 살림헬기 도입 등을 위해 7월말까지 집행하기로 했다.
총 4조3000억원이 배정된 통상 및 AI지원 분야에선 88%인 3조8000억원을 조기 집행한다. 부담경감 크레딧 등 민생지원 역시 65.2%인 3조3000억원을 7월말까지 소진하기로 했다.
정부는 향후 3개월을 ‘집중관리 기간’으로 설정하고 김윤상 기재부 2차관 주재로 재정집행 점검회의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관리해 나가기로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