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 더본코리아 대표가 최근 중단 선언을 했던 방송 복귀 시점에 대해 "주가가 크게 회복세를 타면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7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백 대표는 이날 빽다방 점주와 약 2시간 가량 간담회를 진행한 뒤 기자의 질문에 "지금은 방송 생각은 진짜 안 하고 있다"며 이 같이 답했다. 그는 "방송은 (상황을) 봐야 한다"며 "내가 원래 방송인이 아니다"라고 답했다.
백 대표는 로열티 3개월 면제와 식재료 할인 등 가맹점주 지원책에 투입하기로 한 50억 원 외에 추가 지원금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해당 지원금은 마케팅과 신메뉴 개발 등 가맹점주 지원에 사용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그는 "전날 입장문을 내고 점주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을 약속했다"며 "(최근 이슈로 인해) 후폭풍이 있어 점주에게 여파가 있을 건데, 적은 금액으로는 될 게 아니다. 제대로 해서 점주가 잘 버틸 수 있게 해드리려고 큰 결심 했다"고 설명했다.
더불어 백 대표는 "주주 분들은 가맹 사업이 아직 우리의 본업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점주를 대상으로 지원금을 늘리는 건 호재가 될 수 있다는 생각"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어차피 방송 등을 중단했고, 결국 내가 할 일은 점주 만나고 브랜드 재정비하는 것"이라며 "그 다음 해외 시장이 좋으니 해외에서 열심히 소스 팔려고 돌아다니는 것"이라고 전했다.
백 대표는 연이은 구설수를 불러온 원산지 표기 오류 등 문제에 대해서는 "오프라인에 없던 문제가 온라인으로 옮겨가면서 원산지 표기가 잘못됐다"며 "이를 보강하는 작업을 하고 있고, 해외 시장에 가려면 여러 맹점이 있을텐데 어떻게 보면 꼭 거쳤어야 하는 문제"라고 짚었다.
그러면서 "여태까지 경험상 이런 큰일을 겪었을 때 성장이 많았다"며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때 망했다가도 회사가 이만큼 커졌다. 미리 조치 안 했으면 해외 나갔을 때 어마어마한 항의를 받아 회사가 흔들릴 수도, 망할 수도 있었는데 잘 됐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백 대표는 "이미 제기된 의혹을 포함해 인적인 문제와 실수 등 외부에서 바라보는 의혹은 다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더본코리아는 지난해 11월 유가증권시장 상장 후 감귤맥주의 재료 함량 문제, 간장과 된장의 원산지 거짓 표기 문제, 더본외식산업개발원에서 백 대표가 실내에 엘피(LP)가스통을 두고 요리하는 모습, 우리 농가를 돕자는 취지의 영상에 브라질산 닭고기가 원재료인 제품 노출, '덮죽' 허위광고 등 논란이 이어졌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