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5월 1일(근로자의 날)부터 시작하는 연휴 기간 비상진료체계를 이어가며 고위험 산모·신생아, 심뇌혈관질환 등 주요 응급질환의 진료 협력을 강화한다.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은 1일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지난 추석과 설 명절 이후 시행하는 주요 비상진료체계 지원 대책을 계속 유지하겠다"며 이 같이 밝혔다.
복지부는 현재 대동맥박리, 고위험 산모 등 빈도는 낮지만 난이도가 높은 수술시술에 대해 전국 단위 365일 순환 당직을 시행 중이다. 이날부터는 소아 비뇨기과 응급질환을 추가해 순환 당직 대상을 6개에서 7개로 늘린다.
조 장관은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가산, 중증·응급 수술 가산 등 중증·응급 진료를 위한 수가 지원을 이어가겠다"며 "연휴 기간 주요 질환별 당직 체계를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복지부는 지난 설 연휴에 운영한 중앙응급상황실 산모·신생아 전담팀을 재가동하고 환자 발생 시 권역별 핫라인을 통해 신속히 이송·전원 조치할 계획이다. 산모·신생아 응급 상황에 24시간 대응하는 '모자의료 진료협력 시범사업'을 위해 지난주에 9개 권역 12개 협력 체계를 선정했는데, 시기를 앞당겨 당장 이번 주부터 운영한다.
조 장관은 "전국 17개 권역외상센터 당직 체계와 핫라인을 점검해 중증외상환자도 빠짐없이 치료받게 준비하겠다"며 "이번 연휴에는 고위험 산모·신생아, 심뇌혈관질환 등 주요 응급질환 진료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연휴 기간에도 응급상황에 신속히 대응하도록 지방자치단체, 중앙응급의료센터 비상근무체계, 재난상황 모니터링 및 재난의료지원팀(DMAT) 출동체계를 유지하겠다"며 "정부는 각 지자체, 의료기관들과 긴밀히 소통해 국민들께서 안심하고 연휴를 보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복지부는 대선을 앞두고 윤석열 전 대통령 집권 당시 두 차례에 걸쳐 발표한 실행 방안을 중심으로 의료개혁을 이어가겠다는 방침이다. 조 장관은 "의료개혁을 위해 사회적으로 논의하고 개선해야 할 과제들이 아직 많이 남은 것이 사실이지만 현재 의료개혁특별위원회에서 새 정책을 발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렵다"면서도 "예산에 반영된 과제,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통해 확정된 과제는 차질 없이 이행하겠다"고 말했다. 또 "구체화가 필요한 과제는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가며 보완하겠다"며 "특히 수련환경 개선 등 전공의들이 관심을 가지는 과제에 대해서는 정책 방향을 소상히 설명하고 의견을 듣는 기회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