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상 SK텔레콤 대표가 해킹에 따른 가입자 유심(USIM) 정보 유출 사건과 관련해 직접 사과를 하고 후속 조치를 약속했지만 2300만 가입자들의 불안감은 잦아들지 않고 있다. 급기야 27일에는 한덕수 대통령 권한 대행 겸 국무총리가 해킹 사고 관련 긴급지시까지 내렸다. 정보기술(IT)업계에서는 당분간 유심 재고 부족으로 전국 SK텔레콤 대리점에서 유심 교체 오픈런이 이어질 것으로 내다봤다.
관련업계에 따르면 주말 동안 전국 SK텔레콤 대리점은 유심 교체를 위해 방문한 가입자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정보보호 전문가들이 당장 정보가 악용될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평가했지만 가입자들은 불안감을 떨쳐내지 못하고 유침 교체를 서둘렀다. 앞서 유영상 대표는 지난 25일 기자간담회를 통해 전체 가입자에게 사과하고, 전국 대리점과 공항 로밍센터 등에서 유심을 무료로 교체해 주겠다고 약속했다. 이미 자비로 유심을 교체한 가입자에게는 해당 비용을 환급해주기로 했다.
문제는 교체 비용보다 물량 수급이다. 원가 기준으로는 전체 가입자가 유심을 교체한다는 가정 하에 교체 비용이 700억~800억 원 정도 소요될 것으로 추산되지만, 수요가 한꺼번에 몰릴 경우 이를 맞추기가 사실상 어려운 상황이다.
SK텔레콤 관계자는 “유심 무료 교체를 시작하는 28일 오전 10시 전까지 최대한 물량을 확보하려고 한다”며 “고객들이 몰려 물량 부족이 발생하면 교체 예약 신청을 받을 계획”이라고 말했다.
유심 교체 뿐 아니라 명의도용 방지 서비스 이용 수요도 폭증했다. 이로 인해 이날 SK텔레콤 가입자가 패스(PASS) 앱에 접속하면 서비스 지연 안내 공지가 뜨기도 했다.
2300만 명에 달하는 SK텔레콤 가입자들의 불안과 불만이 커지자 한덕수 권한대행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를 중심으로 방송통신위원회,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관계 부처는 조속히 국민 불편 해소에 전력을 다하길 바란다"고 긴급지시했다. 아울러 한 권한대행은 "과기정통부는 이번 사건에 따른 국민들의 불편과 불안이 조속히 해소될 수 있도록 유심 보호서비스 가입·교체 등 해당 사업자의 조치의 적정성을 면밀히 점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함께 사고 원인 조사 결과를 국민들에게 투명하게 알리고 관계 부처들에게 현 정보보호 체계를 철저히 점검하고 개선할 것으로 지시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