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카시 블체크 체코 통상산업부 장관이 최근 한국수력원자력과의 신규 원전 건설 계약을 언급하며 “몇 주 안에 체결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힌 것으로 확인됐다.
25일 체코 정부에 따르면 블체크 장관은 17일(현지 시간) 체코 비소치나주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체코원자력공사(CEZ)와 한수원 간 설계·조달·시공(EPC) 계약은 이미 완료돼 최종 검토 중”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향후 구체적인 계약 날짜를 제시할 체코 정부에서 조만간 최종 계약이 체결될 것이라는 점을 밝힌 셈이다.
앞서 양 사 간 계약은 지난달 체결될 예정이었으나 프랑스전력공사(EDF)가 우선협상 대상자 선정 절차에 이의를 제기하면서 계약 체결이 잠시 보류된 바 있다. 하지만 24일 체코 반독점사무소(UOHS)가 EDF의 항소를 기각하면서 임시 계약 체결 보류 조치도 해제됐다. 정부의 한 관계자는 “이제 사실상 장애물은 모두 해소됐다”고 설명했다.
다만 블체크 장관은 그간 한수원과 줄다리기를 해온 ‘현지화율 60%’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전체 사업 중 체코 기업의 몫이 60%는 보장돼야 한다는 것이다. 그는 “2월에 한국을 방문했을 때 계약 체결과 동시에 체코 기업 참여율 30%를 달성하기로 한수원과 합의했다”며 “계약 이행 종료 시까지 현지화율 60% 요건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블체크 장관은 이미 최대 20%의 국산화가 보장됐다고 밝혔다. 두산이 2009년 인수한 터빈 제조사인 체코 기업 두산스코다파워가 지난달 신규 원전 터빈 홀 공급 협상을 체결했기 때문이다. 블체크 장관은 “계약이 체결되면 이 협상을 통해 최대 20%의 국산화가 보장될 수 있다”고 말했다.
한편 정부는 대형 원전뿐만 아니라 소형모듈원전(SMR) 해외 진출도 서두르는 모습이다. 한국원자력연구원에 따르면 연구원은 최근 국내 SMR 기술의 미국 시장 진출을 위한 법적·정치적·산업적 분석에 나섰다. 연구원 측은 “국내 공기업·공공기관·민간기업 등의 미국 법인 설립을 통한 직접 진출이나 원자력기업 인수·투자 방안 등의 가능성을 살필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