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시대에 가성비 좋은 중고 제품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바뀌면서 관련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용자 절반은 중고 시장에 대해 “거부감이 줄었다”고 응답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최근 1년 내 중고 거래 경험이 있는 전국 20~50대 소비자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중고제품 이용 실태조사 및 순환유통 비즈니스모델 혁신 보고서'를 24일 발표했다.
응답자의 75.3%는 중고제품 거래에 대해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보통'은 22.8%, 부정적이라고 답한 비율은 1.9%에 그쳤다.
또 절반을 넘는 51.8%가 3년 전보다 중고제품에 대한 거부감이 줄었다고 밝혔다. 이는 중고 거래가 일시적 유행이 아닌 일상화한 소비문화로 자리 잡았음을 시사한다고 대한상의는 설명했다.
소비자들이 중고제품을 찾는 가장 큰 이유는 좋은 물건을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좋은 소비 방법(67.5%)이라는 인식 때문이다. 또 중고로 사서 쓰다 되팔 수 있는 점이 경제적으로 매력적(68.6%)이라는 평가도 많았다.
소비자들은 중고 플랫폼을 통해 1회 평균 6만9000원을 지출하며 주로 잡화(45.9%)와 의류(35.4%), 도서(24.3%), 컴퓨터·관련기기(24.2%), 가전기기(23.9%) 등을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패션 분야에서 중고 거래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스태티스타는 글로벌 중고 패션시장이 지난해 기준 3년간 48.7% 성장해 일반 패션시장 성장률(8.4%)을 크게 앞지를 것으로 전망했다.
김민석 대한상의 유통물류정책팀장은 “중고 거래는 저렴하고 합리적인 소비를 넘어 환경까지 생각하는 가치소비로 진화하고 있다”며 “소비 트렌드 변화에 맞춰 기업들도 중고 제품을 활용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