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더불어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16일 이재명 후보를 겨냥해 “기본소득 정책을 오락가락하는 것은 대단히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라고 말했다.
김 후보는 이날 서울 여의도 경선 캠프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후보의 대표 정책으로 분류되는 ‘기본소득’을 두고 “그 정책을 하니 마니 얘기가 나오지만 어떤 정책이든지 일관성과 예측 가능성을 갖지 않는 것은 가장 좋지 못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김 후보는 “정책을 냉탕과 온탕을 오가듯 펼치면 어느 기업이 투자하고 어느 소비자가 소비를 늘리겠나”라며 “정책은 일관성이 있고 예측 가능해야 한다는 건 기본”이라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자신의 정책인 ‘기회소득’을 전국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후보는 “이미 경기도에서는 기회소득이 실행 중이라서 이를 전국적으로 확대할 수 있는 일종의 실험은 다 끝났다”며 “기회소득은 대상 범위가 좁은 편이라서 전국적으로 확대할 수도 있으며 국민들로부터 공감대를 형성하기에도 좋은 정책”이라고 했다.
이날 충남 천안시 민주당 충남도당을 찾는 김 후보는 대통령 취임 시 바로 세종시에서 집무를 시작하겠다며 “대통령실의 대폭 슬림화를 통해 현재의 5분의 1 규모인 100명 정도로 가능할 것이다. 수석제를 폐지하고 대신 책임 총리, 책임 장관제로 하면 된다”고 설명했다.
한편 김 후보는 이날 안산 화랑유원지에서 열린 세월호 참사 11주기 기억식에 참석해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지 않은 정권, 진실을 가리고 책임을 회피하는 데에만 급급했던 두 정권의 끝은 파면이었다”며 “다시는 이런 참사를 반복하지 말아야 한다. 그 길은 ‘윤석열 이전의 나라’를 넘어 완전히 새로운 나라를 만드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