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2월 정부의 총지출이 1월 설 연휴 영향이 누적되면서 1년 전보다 10조 5000억 원 감소했다. 총수입은 103조 원으로 실질적 나라살림을 보여주는 관리재정수지는 17조 9000억 원 적자로 집계됐다.
10일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월간 재정동향 4월호’에 따르면 올해 2월까지 정부의 총지출은 전년 같은 기간보다 10조 5000억 원 감소한 116조 7000억 원으로 집계됐다. 1월 설 연휴 영향으로 영업일이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인 18일을 기록한 영향이 2월 누계 수치까지 이어진 영향이다. 기재부 관계자는 “1월 설 연휴가 길었던 영향과 주택기금 사업의 사업방식 변경 등이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정부의 2월 말 총수입은 지난해보다 5조 8000억 원 증가한 103조 원으로 집계됐다. 성과급 지급 확대에 따라 소득세 수입이 2조 7000억 원 늘고 법인세도 7000억 원 늘었다. 부가가치세는 환급 세액 증가의 영향으로 7000억 원 감소했다. 세외수입은 9조 2000억 원으로 전년보다 3조 7000억 원 증가했고, 기금수입은 32조 8000억 원으로 지난해보다 8000억 원 줄었다. 기재부 관계자는 “2월 성과급 지급과 주택거래량 증가에 따라 근로소득세와 양도소득세가 증가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말했다.
정부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13조 7000억 원 적자를 보였다. 통합재정수지에서 사회보장성기금수지 4조 2000억 원 흑자를 제외한 관리재정수지는 17조 9000억 원 적자를 기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