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중 10곳이 4일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생중계를 학생들이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공문을 관할 학교에 보낸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두고 교사들 사이에선 갑론을박이 일고 있다.
3일 교육계에 따르면 경남·광주·부산·서울·세종·울산·인천·전남·전북·충남 등 10개 시도교육청은 4일 오전 11시로 예정된 헌법재판소의 윤 대통령 탄핵 심판 생중계를 교육 과정에 자율적으로 활용하라는 권고 공문을 최근 각 학교에 전달했다. 이들 시도교육청 교육감은 진보 성향으로 분류된다.
서울시교육청은 ‘헌법교육 및 학생 생활 안전교육 안내’라는 제목의 공문에서 “대통령 탄핵 선고와 관련해 헌재의 기능과 역할에 대한 학습의 기회가 되도록 학교에서는 교육활동에 자율적으로 활용하기 바란다”고 밝혔다. 다만 탄핵 선고 방송 시청을 할 때 교원의 정치적 중립성 의무를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충남교육청은 '민주시민교육 연계 헌재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 TV 중계 시청'이라는 제목의 공문에 "민주주의 절차와 헌법기관의 기능에 대해 학습할 수 있도록 민주시민 교육활동에 활용하기를 바란다"고 적었다. 다만 "시청 여부와 활용 방법은 교육공동체 협의를 통해 결정하고, 교사의 정치적 중립 의무를 준수해 사회적 갈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유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남교육청도 공문에서 "학교별 자율적인 시청을 권고하며, 교무 회의를 통해 방송 시청 사항을 결정하라"며 "학교 사정에 따라 학급별, 학년별, 전교생 시청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다른 시도교육청도 비슷한 취지의 공문을 보낸 것으로 알려졌다.
보수·중도 성향 교육감이 있는 다른 시도교육청은 생중계 시청 권고 공문을 보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교원 단체 간 의견은 엇갈리고 있다. 초등교사노조는 "현장 교사는 시청 자체가 특정 정치적 견해로 오인될 수 있다는 점에서 학부모 민원 등이 부담스럽다"며 "단순한 시청 권장이 아니라 교육감의 정치 성향에 따라 결정된 것"이라고 지적했다.
반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은 "전국에 있는 모든 학생이 민주시민교육의 역사적 체험이 가능하도록 TV 생중계를 시청할 수 있게 해달라"며 "아이들이 민주주의를 깊이 이해하고 성장할 기회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앞서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 당시엔 학교 또는 교사 재량에 따라 탄핵심판 생중계 시청 여부가 결정됐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