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킨슨병 연구 분야의 최고 권위자인 정종경 서울대 생명공학부 교수를 비롯해 6명이 학술·예술·사회봉사 분야에서 혁신적인 업적을 이룬 인물에게 수여하는 ‘삼성호암상’ 2025년 수상자로 선정됐다.
호암재단은 올해 삼성호암상 수상자로 정 교수(과학상 화학·생명과학 부문)와 신석우 미국 캘리포니아대(UC) 버클리캠퍼스 수학과 교수(과학상 물리·수학 부문), 김승우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명예교수(공학상), 글로리아 최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뇌인지과학부 교수(의학상), 구본창 사진작가(예술상), 김동해 비전케어 이사장(사회봉사상)을 각각 선정했다고 2일 밝혔다.
신 교수는 수학의 중요 주제를 통합해 하나의 이론으로 설명하는 ‘랭글랜즈 추측’의 다양한 사례를 확립하고 이론적 토대를 구축한 수학자다. 현대 정수론 발전에 기여한 석학으로 평가받고 있다. 호암재단 측은 신 교수에 대해 “현대 수학의 난제 해결을 위한 새로운 접근법 제시는 물론 광범위한 분야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소개했다.
정 교수는 파킨슨병 연구 최고 권위자로 꼽히는 세포생물학자다. 파킨슨병 원인 유전자의 작동 기전과 기능을 세계 최초로 규명하고 손상된 미토콘드리아의 선택적 제거가 예방과 치료에 중요함을 증명했다.
공학상을 받은 김 교수는 펨토초 레이저를 이용해 획기적으로 향상된 정밀도와 안정적인 제어가 가능한 초정밀 광계측 기술 분야를 앞장서 개척해왔다. 그가 개발한 기술은 반도체·디스플레이 생산 공정에서 발생하는 미세 결함 제거, 인공위성 간 거리 측정 등 다양한 첨단산업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의학상 수상자인 최 교수는 임신 중 면역 체계 과활성이 태아 뇌 발달을 방해해 자폐증 위험을 높일 수 있음을 규명한 뇌신경학자다. 면역계·신경계 상호작용 연구를 통해 자폐증은 물론 우울증과 치매 등 난치성 뇌 질환을 치료할 수 있는 의료기술을 개발하는 데 큰 기여를 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구 작가는 1980년대부터 섬세한 예술적 감각과 탁월한 사진술을 결합한 실험성 높은 작품 활동을 펼치며 한국 현대 사진 예술 분야의 지평을 넓히고 개척해온 선구자다. ‘백자’와 ‘탈’ 시리즈 등 한국 전통미를 재해석한 구 작가의 작품들은 세계 유수 미술관에 전시되며 한국 현대미술의 위상을 높이고 있다.
김 이사장은 2005년 저개발국 사회적 약자들의 시력을 보호하는 국제 실명 구호 비정부기구(NGO) 비전케어를 설립하고 국내외 의료진 및 자원봉사자들과 함께 39개국 총 23만 명을 치료하며 인류애를 실천했다. 그는 현재 에티오피아 등 11개 나라에 지부를 설립해 의료진 양성과 의료 장비 지원 등 의료 케어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호암재단은 1991년부터 삼성호암상을 통해 학술·예술 및 사회 발전과 인류 복지 증진에 탁월한 업적을 이룬 한국계 인사를 널리 알렸다. 올해 수상자까지 총 182명의 수상자들에게 361억 원의 상금을 수여해왔다. 올해 수상자는 노벨상 수상자를 포함한 국내외 각 분야 전문가 46명이 참여한 심사위원회와 해외 석학 63명으로 꾸려진 자문위원회의 심사, 현지 실사 등을 거쳐 선정됐다. 부문별 수상자에게는 상장과 메달, 상금 3억 원을 수여하며 시상식은 다음 달 30일 열린다. 7월에는 수상자 등 석학을 초청해 청소년들을 위한 강연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