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덜란드에서 무릎 수술 후 깨어나 10대 소년이 하루 동안 모국어 대신 영어만 구사하는 희귀 증상을 보였다. 의학계에서 '외국어 증후군'으로 불리는 극히 드문 사례다.
최근 라이브사이언스 등 해외 과학매체에 따르면, 네덜란드 국적 A군(17)은 축구 중 부상으로 무릎 수술을 받은 후 특이 증상을 보였다. 평소 학교 영어 수업 외에는 영어를 사용한 적 없던 A군이 수술 후 모국어를 전혀 사용하지 못했다.
의료진은 "수술 직후 환자는 네덜란드어를 이해하지 못했고 부모도 알아보지 못했다"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처음에는 마취 회복 과정의 일시적 섬망으로 추정됐으나, 시간이 지나도 영어만 구사하는 상태가 지속됐다.
신경과 검사에서도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다. 수술 18시간 후에야 A군은 네덜란드어를 이해할 수 있었으며, 24시간이 지나서야 모국어로 의사소통이 가능해졌다.
의학계에 보고된 '외국어 증후군' 사례는 전 세계적으로 9건에 불과하며, 소아·청소년 사례는 더욱 희귀하다. 담당 의료진은 "마취와 관련성이 있을 수 있으나 정확한 메커니즘은 아직 불분명하다"고 설명했다.
A군은 수술 3일 만에 퇴원했으며, 3주 후 진료에서는 언어 사용에 아무런 문제가 없었다. 기분 변화나 불안, 수면 장애 등 후유증도 나타나지 않았다.
의료계는 이 사례를 통해 뇌의 언어 처리 기능과 마취제의 상호작용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마취 후 언어 기능 변화는 뇌 활동의 복잡한 메커니즘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