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10곳 가운데 9곳이 트럼프 2기 행정부 정책과 관련해 특별한 대응 전략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중소기업중앙회가 2월 10일부터 21일까지 수출 중소기업 5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및 고환율 장기화에 대한 수출 중소기업 CEO 의견조사’ 결과에 따르면 부정적 경영실적 전망 응답은 28.0%로 긍정적(6.4%)의 약 4배에 달했다. ‘변화없음’은 65.6%로 나타났다.
부정적으로 전망한 이유(복수응답)는 보편적 기본 관세 등 무역 규제 강화 도입(61.4%)이 답변이 가장 많았다. 강달러 기조 유지 및 환율 변동성 확대(50.0%),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 및 원자재 비용 증가(38.6%) 등이 그 뒤를 이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정책에 대해 준비한 전략에 대해서는 제일 많은 89.8%가 ‘특별한 대응전략 없음’이라고 답했다. 가격 경쟁력 확보를 위한 원가 절감 전략(5.6%), 대체 공급망 확보 및 원자재 수급 관리 강화(2.4%) 등의 답변도 나왔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대응해 희망하는 정부 지원 정책은 △원부자재 가격 변동 대응을 위한 지원책 확대(24.2%) △금융 지원(정책자금, 보증 등) 확대(22.4%) △물류비 지원 확대(21.0%) △세제 지원(법인세, 투자세액 공제 등) 확대(19.4%) 등을 꼽았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올해 경영실적 전망이 어두울 것이라는 부정적 응답이 긍정적 응답의 4배에 달했다”며 “미국 우선주의에 기반한 고관세 정책으로 인해 수출시장의 불확실성이 커진 것이 주요 원인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어 “수출 중소기업 10개 중 9개사가 트럼프 2기 관세정책에 특별한 대응전략이 없다고 나타난 만큼 금융·세제 지원과 원부자재·물류비 지원을 확대해 수출 중소기업의 부담을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