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지주가 지난해 3조 원을 웃도는 순이익을 거뒀다. 이자이익 증가세가 정체된 가운데 비이자이익 부문이 40%대 성장률을 기록하며 실적을 이끌었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당기순이익 3조 860억 원을 기록했다고 7일 밝혔다. 이는 전년(2조 5063억 원) 대비 23.1% 증가한 규모다. 2022년 기록한 역대 최대 실적(3조 1417억 원)에 소폭 못 미치며 사상 두 번째 규모의 순익을 거뒀다.
이자이익은 8조 8886억 원으로 1년 동안 1.6% 늘었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두 차례 기준금리 인하 등의 영향에도 기업 대출을 증가시키며 자산 성장을 이끌어낸 결과”라고 설명했다. 지난해 말 기준 우리은행의 기업 대출은 전년 대비 9% 증가한 186조 원을, 가계대출은 5.9% 늘어난 144조 원을 기록했다.
비이자이익은 크게 늘었다. 지난해 우리금융의 비이자이익은 1조 5540억 원으로 전년 대비 41.9% 늘었다. 은행 자산관리(WM)와 투자금융(IB), 비은행 부문의 다각적인 영업 확대로 수수료 이익(2조 862억 원)이 전년(1조 7205억 원) 대비 21.3% 증가했다는 설명이다. 건전성 지표인 고정이하여신비율(NPL)은 그룹 0.57%, 은행 0.23%로 전년 대비 소폭 증가했다.
주주 환원 여력과 직결되는 보통주자본비율(CET1)은 직전 분기(11.95%) 대비 0.13%포인트 오른 12.08%를 기록했다. 2023년 말(11.99%)과 비교하면 0.09%포인트 상승했다. 4분기 환율 급등으로 약 0.4%포인트 수준의 감소 영향이 있었지만 적극적인 위험자산 관리에 나선 결과라는 설명이다. 우리금융은 연내 CET1 12.5%를 달성한다는 목표를 세웠다.
우리금융 이사회는 주당 660원의 결산 배당을 결의했다. 지난해 연간 배당금은 주당 1200원이다. 우리금융은 올해 1500억 원의 자원을 자사주 매입과 소각에 활용할 예정이다.
이날 실적을 발표한 DGB금융지주는 계열사 iM증권이 1588억 손실을 내면서 지난해보다 43.1% 감소한 2208억 원의 순익을 거뒀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