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34조 원의 대규모 기금을 조성해 배터리·바이오 등 첨단 산업을 지원한다. 최근 전기차 캐즘(일시적 수요 둔화) 현상과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전기차 의무화 폐지 선언 등으로 실적 부진을 겪고 있는 배터리 업계의 자금 조달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5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 겸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에서 “배터리·바이오 등 첨단 산업과 기술을 지원하는 가칭 ‘첨단전략산업기금’을 산업은행에 신설하겠다”고 밝혔다.
최 권한대행은 “이 기금은 반도체 금융 지원 프로그램의 2배 이상 규모로 조성해 저리 대출과 지분 투자 등 다양한 지원 방식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구체적인 기금 신설 방안을 조속히 마련해 관련 법률 개정안을 3월 국회와 협의하겠다”고 설명했다. 정확한 규모를 밝히지 않았지만 이미 가동 중인 반도체 금융 지원 프로그램의 규모가 17조 원인 점을 고려하면 최소 34조 원 이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이번에 조성된 기금을 반도체 이외의 첨단 산업부터 우선 지원할 방침이다. 최근 업황 둔화와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운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으로 위기를 맞은 배터리 업계가 직접적인 헤택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최 권한대행은 인공지능(AI) 경쟁력 확보도 강조했다. 그는 “국가 AI 컴퓨팅센터 가동 절차에 속도를 내는 동시에 이달 중 ‘국가AI위원회’ 회의를 조속히 개최해 ‘AI 3대 강국’ 도약을 위한 세부 전략들을 논의하겠다”며 “산업계와 함께 실제 현장의 상황을 짚어보고 대응 전략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