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은행(BOJ)이 24일 기준금리 격인 단기 정책금리를 17년 만에 최고치인 0.5%까지 올린 가운데 앞으로의 금리 행보에 대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우에다 가즈오 BOJ 총재는 “예단할 수 없다”는 입장이지만 시장에서는 반년에 한 번 정도 페이스로 0.25%포인트씩 ‘베이비 스텝’을 밟을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이 경우 내년 봄께에는 일본 금리가 1%까지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25일 아사히신문은 “우에다 총리의 전날 기자회견에서 초점이 된 것은 다음 금리 인상이었다”며 “일본 금융시장 전문가들은 금리가 대략 반년 간격으로 0.25%포인트씩 올라 내년 봄 1% 정도에 이를 것으로 관측한다”고 전했다. 다만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금리가 0.75%까지는 무리 없이 오르겠지만 그 이상 인상하는 것은 예단하기 어렵다는 견해도 나온다. 일본은행이 만일 금리를 추가로 0.25%포인트 올려 0.75%가 되면 1995년 이후 3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 된다. 이후 추가 인상을 하는 경우 시장 충격이 적지 않을 수 있기에 더욱 신중해질 수 밖에 없다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일본 금리의 향방을 결정짓는 관건은 결국 미국의 움직임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다.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가 관세를 올리고 이로 인해 미국 금리 인하가 늦어질 경우 엔저 현상이 가속화될 수 있어 일본이 조기 금리 인상을 단행해야 할 것이라는 게 아사히 측의 분석이다. 엔화 가치가 지나치게 떨어질 경우 일본 국내의 수입 물가가 급등할 수 있고 사회·경제적 혼란이 빚어질 수 있어서다. 류 쇼타 미쓰비시UFJ모건스탠리 증권 연구원은 “10~12월께 금리 인상이 이뤄질 것으로 보이지만 달러당 160엔을 넘을 경우 금리 인상이 6월 정도까지 앞당겨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일본 금리 인상 시점에 영향을 미칠 다른 요소는 7월 예정된 참의원 선거다. 일본 정부가 지난해 가을 중의원 선거에서 과반수를 차지하지 못한 가운데 참의원 선거 결과에 따라 국내 정세가 더 불안정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이 경우는 선거가 끝나고 정권이 안정되기까지 금리 인상 시점이 늦춰질 수 있다는 분석이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