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스미싱(문자사기) 신고·차단 건수가 220만 건에 육박하며, 전년 대비 4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과태료·범칙금 등 정부·공공기관을 사칭하는 유형이 가장 많았으며, 지인사칭과 계정탈취 유형도 상당수를 차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방송통신위원회, 한국인터넷진흥원 등에 따르면 지난해 지난해 스미싱 신고·차단 건수는 219만 6469건을 기록해 전년 대비 336% 증가했다. 2023년 3만 7000여건에서 2024년 50만 건으로 급증한데 이어 지난해에는 200만 건 이상으로 더 늘어난 것이다.
이처럼 스미싱 신고·차단 건수가 빠르게 늘어나는 것은 범죄 행위가 늘어난 것도 있지만 최근 들어 신고 시스템의 편의성이 높아진 영향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2023년부터 과기정통부는 스팸 간편 신고 시스템을 도입하고, 스미싱 확인서비스 기능을 개선해 왔다. 또 2020년 이후 문자 대량 발송을 하는 문자 재전송사 등록이 많이 늘어난 것도 주요 이유로 파악된다.
지난해 스미싱 신고·차단 건수 중 악성앱 감염을 유도하기 위해 정부·공공기관을 사칭한 사례가 전체의 57.3% 가장 비중이 높았다. 또 SNS를 사칭한 계정탈취 유형이 46만여 건(20.9%), 청첩장, 부고장 등 지인 사칭형도 36만여 건(16.6%)에 달했다.
정부는 이번 설 명절에도 범칙금, 과태료 부과 조회 등을 유도하거나 연초 연말정산 기간 중 환급액 조회를 유도한 악성 문자가 다량 유포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또 명절 선물, 세뱃돈 송금 등 국민들이 쉽게 속아 넘어갈 수 있는 상황을 악용해 악성앱 감염 유도 문자가 유포될 수 있어 국민들의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다.
정부는 각종 결제나 상품배송 등의 확인 문자가 왔을 때는 인터넷 주소(URL)를 누르지 말고 사실관계를 먼저 확인하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유포된 악성 문자메시지를 통해 원격조종이 가능한 악성 앱이 설치되면 재산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전화·영상통화 등으로 상대방을 정확하게 확인하기 전에는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하는 상대방의 요구에 응하지 말아야 한다고도 당부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