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AI)으로 X레이, CT, MRI 등 의료영상 결과를 분석해 질병 유무를 판단하는 기술과 관련된 특허출원이 최근 10년 동안 연평균 54.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허청은 특허 다출원 5개국(한국, 미국, 일본, 중국, 유럽)에 출원된 AI 의료영상 분석 기술이 2011년 58건에 불과했지만 2020년 2946건으로 연평균 54.7% 증가했다고 3일 밝혔다. 특히 최근 5년(2016~2020년)간은 연평균 증가율이 70.9%에 달했다.
국가별 누적 출원량은 중국(3477건)이 39.8%로 가장 많았다. 미국(1733건)이 19.8%로 2위였고 한국(1057건), 일본(980건), 독일(522건) 순으로 나타났다. 연평균 출원 증가 속도는 중국이 86.8%로 가장 가팔랐고, 한국이 67.1%로 두 번째였다.
기업별로는 독일 지멘스헬시니어스(393건)가 최다 출원했고 네덜란드 필립스일렉트로닉스(229건), 일본 캐논메디컬시스템즈(185건), 일본 후지필름(173건), 네덜란드 필립스(143건) 순이었다. 중국 텐센트는 138건으로 6위, 미국 IBM과 GE가 각각 123건과 116건으로 7위와 8위를 차지했다. 삼성전자가 87건으로 11위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국내 기업들의 경우 100대 상위 출원 기업에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다수 이름을 올렸다. 딥바이오(20위, 48건), 루닛(35위, 36건), JLK 인스펙션(38위, 34건), 뷰노(40위, 33건) 등이 100위 안에 들었다.
특허청은 “AI를 활용한 의료영상 분석기술에 관심이 높아지면서 새로운 기업들이 꾸준히 진입하고 있다”며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마켓에 따르면 작년 12억 달러였던 AI의료영상 분석 기술 시장 규모는 2027년 122억달러로 10배 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