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성 저위도 지표면에 액체 상태의 물이 비교적 최근인 40만년 전까지도 존재했다는 결정적 증거가 나왔다. 특히 이는 화성 고위도가 아닌 저위도 지역에서 발견된 최초의 액체 상태 물의 흔적이라서 주목된다. 이번 발견은 비교적 따뜻한 저위도 지역에서 생명체의 흔적을 찾는 임무에 중요한 단서를 제공한다고 연구진은 평가했다.
중국과학원(CAS) 등 소속 중국 연구진은 28일(현지시간)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이 같은 내용을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2021년 화성에 착륙한 중국의 화성 탐사 로버 '주룽'(祝融)은 최근 '유토피아 평원'(Utopia Planitia) 지역에 있는 저위도 모래 언덕 4곳을 탐사했다. 이들 모래 언덕에서는 염분이 많이 함유돼 있었고 표면에서는 약 140만∼40만 년 전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균열 흔적이 발견됐다. 연구진은 이 균열 지형을 물 존재의 유력한 증거로 꼽았다. 통상 녹아내린 서리나 눈이 지표면에 영향을 줄 때 이 같은 지형이 형성되기 때문.
실제 주룽이 수집한 이곳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얼음이 풍부한 화성 극지방에서 수백만 년 전 상당한 양의 물이 저위도로 이동했고 마지막에는 이들 모래 언덕 위에 머물던 것으로 관측됐다. 다만 화성의 기온 탓에 모래 언덕의 물이 액체 상태로 남아 있던 기간은 아주 짧았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화성 온도는 오전 5∼6시 사이 급격히 올라가는데 이때 물은 염분과 황산염 등 광물만 남긴 채 증발했을 것이라고 한다.
한편 지난 2018년에는 이탈리아 국립천체물리연구소(INAF) 연구진이 화성 남북극을 덮고 있는 얼음층인 극관의 1.5㎞ 아래에 지름 20㎞ 크기의 액체 상태 물이 모여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