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차원에서 플라스틱 소비에 대한 추가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면 그 소비량이 주요 20개국(G20)에서만 2050년 4억5100만톤에 이를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현재의 1.7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그만큼 해양 등 생태계도 악화된다는 뜻이다. 국제사회가 논의 중인 일회용 플라스틱의 전면 사용 금지, 새로운 플라스틱 제품을 만들 때마다 세금 부과, ‘확장된 생산자 부담’원칙의 도입 등의 대책은 플라스틱 생산의 증가를 막지 못한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AFP, 로이터 등 외신들은 27일 영국 경제전문 주간지 이코노미스트 산하 ‘이코노미스트 임팩트’와 일본 비영리단체 일본재단의 공동 보고서를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보고서는 국제사회의 플라스틱 소비 관련 대응책이 “표면만 살짝 긁는 수준”이라며 “더 포괄적인 글로벌 차원의 계획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글로벌 175개국은 내년 말 발효를 목표로 유엔 차원에서 플라스틱 소비를 줄이기 위한 조약을 만들기로 합의한 바 있다. 플라스틱 제품의 생산자들이 재활용 혹은 폐기에 이르는 전 과정에 책임을 지도록 의무화하는 한편 불필요한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의 생산을 전면 금지하는 방안이 논의 대상에 올랐다. 보고서는 이 같은 대책을 모두 시행한다면 2050년까지 연간 소비량을 3억2500만원까지 줄일 수 있지만, 여전히 2019년 대비 25% 증가한 수치이며 쓰레기 트럭 2억3800만대 분량에 이른다고 지적했다.
보고서의 공동 저자인 질리언 파커는 AFP에 이번 연구 결과에 대해 “국제사회가 좀 더 강한 의지로 절박하게 협상 테이블에 올라야 한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