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출 금리가 큰 폭으로 오르면서 우리나라 수출기업 10곳 중 4곳은 연간 영업이익과 맞먹거나 초과하는 수준의 이자 부담을 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정만기 한국무역협회 부회장은 전날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제5회 무역산업포럼'에서 "수출 기업의 자금 조달 애로가 가중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인플레이션 우려에 대응하기 위한 각국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에 따라 우리나라 기업 대출 금리는 2021년 1월 2.69%에서 지난해 12월 5.56%까지 상승했다. 이에 따라 기업의 연간 이자 부담액 예상치는 2021년 42조 4000억 원에서 지난해 74조 7000억 원으로 두 배 가까이 늘어났다.
지난해 12월 무역협회가 수출기업 400개사를 대상으로 실시한 '금융애로 실태조사'에선 수출 기업의 겪고 있는 자금조달 어려움이 드러났다.
관련기사
응답 업체 중 42%가 연간 이자 부담액이 영업이익과 비슷하거나 초과해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답했다. 또한 절반이 넘는 58%는 자금 사정 악화가 1년 이상 지속될 것이라고 응답했다. 또한 기업이 가장 원하는 금융지원은 금리 부담 완화, 신규 대출 확대, 신용보증 확대 순으로 나타났다.
이에 무역협회는 지난달 금융애로 건의서를 금융위원회에 전달했다. 건의서에는 고정금리 대출 확대, 만기 도래 시 원금 상환유예 등 8가지 정책 과제에 대한 내용이 담겼다. 협회 차원에서도 중소 수출 기업을 위한 대출 금리 차액 보전사업을 통해 기업은행, 무역보험공사와 함께 금리 3% 수준 대출 자금을 운영할 계획이다.
정 부회장은 “경기 침체 기간 동안의 고금리로 이자 부담과 자금난을 겪는 한계 기업이 속출하며 대규모 기업 파산으로 이어진다면 우리의 수출 산업 생태계는 일부라도 와해될 우려가 있다”며 “수출 산업 생태계는 한번 무너지면 복원에 많은 노력과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단기적 고금리가 산업 생태계 와해를 초래하지 않도록 정부와 금융기관들의 특단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정책건의문에 포함된 수출 성장 기업 대상 1% 금리 우대 조치, 보증 기금 지원 대상의 수출 실적 기준 하향 등이 시행된다면 수출 기업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