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부 병·의원에서 불법 의료 광고를 이어가자 보험사들이 두 달간 2600여 건을 신고하며 전방위 대응에 나섰다. 소비자들을 현혹하는 광고는 결과적으로 보험 사기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한 때문이다.
3일 보험 업계에 따르면 최근 삼성화재와 현대해상·DB손해보험·KB손해보험 등 손해보험사들은 지난해 11월부터 12월까지 의료 광고 금지 사항 위반, 전문 병원 명칭 사용, 환자 유인 행위 등 불법 의료 광고가 의심되는 2656건을 적발해 국민신문고에 신고했다.
주요 위반 유형은 의료 광고 금지 사항이 2182건으로 가장 많았고 전문 병원 명칭 사용은 436건, 환자 유인 행위는 38건이었다. 신고된 병원 유형은 한방병원이 805건으로 최다였고 치과(196건), 안과(145건), 성형외과(106건), 요양병원(85건), 피부과(43건)가 뒤를 이었다. ‘교통사고 치료 시 본인 부담금은 0원’ ‘부작용 없는 한방 다이어트 성형’ 등 과장된 문구들이 불법 의료 광고로 의심돼 신고된 대표적인 사례다.
보험사들이 불법 의료 광고 신고에 나선 후 전체 신고의 60%인 1610건이 시정됐다. 보험사들이 불법 의료 광고로 의심되는 병·의원들을 신고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보험사들은 2021년 12월부터 지난해 1월까지 3340건을 신고한 바 있다.
한 손해보험사 관계자는 “선량한 보험 소비자 보호를 위해 금융감독원 등 당국과 긴밀한 협조 체계를 유지하면서 불법 의료 광고 근절을 위한 활동을 강력히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