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혁신위원회가 다음 총선에 ‘공직 후보자 기초자격평가(PPAT)’ 합격제 도입을 골자로 한 공천 개혁안을 공식 논의한다. 이준석 전 대표가 고안한 PPAT를 활용해 혁신위의 핵심 과제인 투명하고 예측 가능한 공천 시스템 정비를 하겠다는 취지다. 다만 여당 내부의 ‘이준석 비토 정서’를 넘고 이 같은 개혁안이 당론으로 채택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21일 서울경제의 취재를 종합하면 22일 혁신위 전체회의에는 2024년 총선에서 PPAT 일정 점수 이상을 받아야 심사를 받을 수 있도록 한 공천 개혁안이 상정된다.
이 전 대표가 6·1 지방선거에서 도입한 PPAT 적용 범위를 국회의원으로 확대하고 불합격자에게는 공천 심사 기회를 주지 않겠다는 취지의 개혁안을 혁신위 산하 인재소위원회가 제안했다.
한 국민의힘 혁신위원은 “커트라인 등 보다 구체적인 사안을 공천관리위원회에 맡길지, 아니면 별도의 PPAT 조직을 신설할지 검토가 필요하다”며 “PPAT를 정례화해 응시 기회를 여러 번 주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전체회의에서 해당 안이 통과되면 비상대책위원회 공식 의결을 거쳐 당론으로 채택된다.
공천관리위가 독점한 후보자 검증 권한을 윤리위원회에 분산시키는 인재소위의 개혁안도 전체회의에 올라온다. 후보자의 도덕성 검증 기능을 윤리위에 이관해 당 대표의 입김이 크게 작용하는 공관위를 견제하겠다는 의도다. 또 기존 ‘인재영입위원회’를 내부 인재 육성에 방점을 찍는 ‘인재위원회’로 개편하고 상설화하는 방안도 논의될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이 같은 공천 개혁안이 비대위 등을 거쳐 당론으로 관철되기까지 진통이 적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차기 지도부의 몫으로 여겨지는 공천 제도를 ‘이준석 체제’에서 발족한 혁신위가 결정하는 것을 두고 내부 불만의 기류가 상당하다. 안철수 의원이 ‘혁신위 해체론’을 주장한 것도 이런 분위기와 무관하지 않다. 당장 혁신위 안에서도 이견이 노출됐다. 혁신위원을 겸임하는 한 의원은 PPAT 확대 적용과 관련해 “객관식 시험보다 지도자의 철학과 지향점을 평가할 수 있는 면접을 강화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천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를 경우 또 다른 ‘내홍의 씨앗’이 될 수 있어 혁신위가 자체 속도 조절에 나설 가능성도 있다. 주호영 비대위원장은 19일 “비교적 쉽게 합의할 수 있는 안이 있고 ‘논쟁적 안’이 있을 텐데, 한꺼번에 다 내놓으면 혼란스러울 수 있으니 2단계 정도로 하는 게 어떻겠느냐”며 공천안 발표를 미뤄달라고 최재형 혁신위원장에게 당부했다.
혁신위 정당소위원회와 민생소위원회의 개혁안 중에는 △연령·가입 기간을 고려한 당원 구분 세분화 △당협위원장 권한 명시화 △민생 태스크포스(TF) 구성 △여의도연구원 개편 등이 전체회의에 상정될 것으로 보인다. 혁신위는 이르면 당일 1차 혁신 과제를 발표한다. 최 위원장은 “소위에서 올라온 공천 개혁안을 중심으로 내일 전체회의에서 논의할 예정”이라며 “전체회의 논의 결과를 보고 발표 여부를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