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선박 공급 부족과 운임 급등으로 수출기업의 어려움이 갈수록 확대되자 미주 항로에 임시선박 공급을 늘리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섰다. 중소 수출기업을 대상으로는 200억 원 규모의 물류비 특별 융자를 새롭게 제공하기로 했다.
정부는 7일 서울 종로구 무역보험공사에서 ‘수출입물류 비상대응 전담반(TF)’ 2차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수출입 물류 추가 지원 방안을 발표했다. 수출기업들은 해상항공 운임 급등에 선복(적재 공간) 확보마저 쉽지 않아 어려움을 겪고 있다. 수출입물류종합대응센터에 따르면 수출기업의 물류 애로는 선박공급 확대(39%), 운임 지원(33%), 컨테이너 확보(7%) 등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HMM과 협의해 7월부터 미주 운항 임시선박을 월 2회에서 월 4회로 증편 투입하기로 했다. 한시적으로 다목적선을 임차해 미주 항로를 운항하기로 했다. 마산항에서 LA항과 휴스턴항으로 완제품, 철강, 석유화학 제품 등을 실어나를 예정이다.
HMM이 7월부터 미주 서안 항로에 투입하는 임시선박에 중소중견화주의 우선 선적 선복량을 1,000TEU(1TEU는 20피트 컨테이너 1개)를 별도 배정하기로 했다. SM상선이 6월 말부터 운영하는 미주 서안항로에서도 중소중견화주의 선복량을 매주 30TEU 신규 배정한다.
중소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한 200억 원 규모의 물류비 특별융자도 만들었다. 무역진흥자금 200억 원 규모의 특별융자 프로그램을 신설해 기업당 3,000만 원 한도로 지원한다. 연 1.5% 금리로 3년 동안 제공한다.
전재우 해수부 해운물류국장은 “임시선박 투입과 중소중견기업 선적공단 우선 제공 등 지원 대책을 지속 추진하고 비상대응 전담반을 상시가동하겠다”고 했다.
/조지원 기자 jw@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