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돌봄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노인이 기존 1만여명에서 내년 1만 3,178명으로 늘어난다고 19일 밝혔다.
노인맞춤돌봄서비스 수행 기관은 10곳에서 24곳으로, 전담사회복지사와 생활지원사는 347명에서 850명으로 대폭 확충한다.
신규 신청자는 내년 3월부터 관할 주민센터를 통해 신청할 수 있으며 조사를 거쳐 서비스 제공 계획이 수립된다. 기존 노인돌봄서비스 이용자는 별도 신청이 필요 없다.
보건복지부가 내년부터 전면 시행할 노인맞춤돌봄서비스는 노인들의 필요에 따라 안전 지원, 사회 참여, 생활교육, 일상생활 지원 등의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돌봄이 필요한 만 65세 이상 기초생활수급자, 기초연금 대상자 중 홀몸·조손·고령부부 가구, 신체·인지 기능 저하로 돌봄이 필요한 어르신들이 이용할 수 있다.
기존 노인돌봄서비스는 돌봄 기본, 돌봄 종합, 독거노인 사회관계 활성화, 초기 독거노인 자립 지원, 단기가사 서비스, 지역사회 자원 연계 등 6개 분야로 나뉘어 있었다.
그러나 유사한 서비스가 많고 단순한 안부 확인과 가사 지원 중심이라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됐다.
인천시 관계자는 “이전에도 노인 현황 조사는 했지만 구체적인 개인 여건까지 파악하기는 어려웠다”면서 “이번 맞춤형 사업 시행으로 개별 노인을 상담해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인천=장현일기자 hichang@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