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내부에서는 이번 일이 검찰의 집단 항명 사태로 이어질 가능성에 대해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법조계에서 문 총장이 조만간 사표를 던질 것이란 예측이 나오고, 검찰 내부도 동요하고 있는 상황이다.
집권 3년 차를 맞아 검찰과의 관계가 악화할 경우, 청와대 입장에서는 국정을 운영하는 데 상당한 부담이 생길 수 밖에 없다. 청와대 관계자들이 “일선 검사들의 반응을 지켜봐야 한다”고 말하는 것도 검찰의 조직적 반발에 대한 우려가 크기 때문이다. 앞서 ‘환경부 블랙리스트’ 사건을 수사해온 검찰은 청와대의 각종 해명에도 불구, 지난달 신미숙 전 청와대 균형인사비서관과 김은경 전 환경부 장관을 불구속 기소했다.
반면 자유한국당은 검찰의 반발 기류에 편승해 청와대에 맹공을 퍼부었다. 나경원 한국당 원내대표는 이날 청와대 분수대 앞에서 열린 현장 최고회의에서 “문재인 대통령은 부끄러움을 느껴야 한다”고 꼬집었다. 이어 “잘못된 검경수사권 조정은 더 큰 혼란을 야기할 것”이라며 “여당은 지금이라도 패스트트랙을 철회하고 보좌진과 당직자들에 대한 고발도 취하해야 한다”고 말했다./윤홍우기자 seoulbird@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