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매출 수천억원대의 정보통신기술(ICT) 기업 C사는 수년째 연구개발(R&D) 인력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5세대 이동통신서비스(5G) 상용화를 앞두고 A사는 관련 통신설비에 들어갈 솔루션을 개발·공급하기 위해 수년 전부터 준비해왔지만 종종 연구인력 공백이 발생해 기술개발의 연속성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 회사 임원은 “R&D팀에서 경험이 쌓여 이젠 좀 써먹을 만하겠다 싶은 직원들이 갑자기 공부를 더 하고 싶다거나 외국계 기업에 스카우트됐다며 떠나는 경우가 빈번하다”며 “기껏 비용을 투자해 인재를 키워놓았더니 남(외국계 기업) 좋은 일만 한 셈이 됐다”고 답답해했다.
중견·중소기업들은 연구인력 확대는커녕 현상 유지도 힘들 지경이다. 특히 석·박사급 인재 모시기는 하늘의 별 따기다. 실력이 있거나 이른바 ‘스펙’이 좋은 인재는 급여와 복리후생에 대한 눈높이가 더 높아 중견·중소 기술기업행을 선호하지 않는다.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관계자는 “중소기업 부설 연구소나 연구팀은 대부분 학사급 인재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석·박사 인력 비중이 높지 않다”고 전했다. 실제로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말 공개한 ‘2018년도 산업기술인력 수급실태조사’에 따르면 300인 미만 중소기업의 산업기술 부족인력은 지난 2017년 3만4,698명에 달했다. 이는 부족인력 규모가 전년 대비 1.9% 증가한 수준이다. 특히 조사 대상 기업 중 77.7%의 중소기업이 대학원을 졸업한 산업기술인력에 대해 ‘부족하다’고 답했다.
중소·중견기업 입장에서는 R&D 이외의 일반기술직도 구하기 쉽지 않다. 경기도 남양주에 위치한 건설엔지니어링 업체 C사의 대표는 “최근 회사 규모가 커지면서 지난해 신입사원 3명을 채용하려고 했지만 실패했다”며 “면접에 오기는 하지만 합격한 뒤에는 여러 이유를 대며 입사를 하지 않겠다고 하는 등 직원을 구하기가 너무 힘들어 올해에는 학력기준을 기존 4년제 대졸에서 초대졸로 낮춰 다시 채용공고를 낼 생각”이라고 말했다. 기술직 구인난은 조선업 등 주력산업에서 더욱 극명하다. 인력 매칭 사업을 하는 D사 대표는 “조선업의 경우 최근 수주에 성공하며 물량이 늘어나고 있음에도 기존에 조선업을 떠난 기술직 직원들이 다시 돌아오지 않는 상황”이라며 “지난해 중순부터 몇 개월 동안이나 채용공고를 냈지만 아직도 일할 사람을 찾지 못한 곳이 많다”고 전했다.
일부 기업은 해외로의 이전을 준비하고 있다. 인건비는 오르고 일할 사람은 구해지지 않는 상황에서 그나마 성장동력이 있는 해외로 이전하는 것이 유일한 해결책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D사 대표는 “조선기자재 관련 업체 몇 곳이 인건비와 구인난을 이유로 인도네시아나 베트남 등으로의 이전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동남아시아 지역에서는 정부가 조선업을 일종의 국책사업으로 지정하고 적극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핵심기술진 몇 명만 데리고 공장 자체를 이전하려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문제를 해결하려면 산업계와 정부가 함께 힘을 모아 핵심 기술인력 수급을 풀어나갈 수 있는 인재 생태계 기반을 확충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산업계에서는 정부에 기업 R&D 관련 인건비의 세제 및 예산 지원 확대 및 요건 추가 완화를 요청하고 있다. 예컨대 ‘기업부설연구소’에 대한 세제혜택(현행 연구비 및 인력개발비 20~25% 세액공제 등)의 경우 공제율을 확대하고 인건비 지원(미취업자 고용 기준 인건비의 50% 지원) 기한을 현행 1년보다 늘려 최소 2~3년간 지원이 이뤄지도록 해달라는 의견이 적지 않다. 기업들의 자구노력도 필요하다.
중견·중소기업의 경우 임금으로는 대기업이나 외국계 기업 수준의 대우를 해주기 어려운 만큼 개발기술의 성과를 공유하는 등의 방식을 고려해볼 수 있다. 예를 들면 개발기술을 기반으로 한 사내벤처 창업을 유도하거나 해당 지적재산권 로열티 수익 중 일부를 사내 개발진에게 인센티브로 줘 공유하는 방식 등이 고려될 수 있다. 교육계는 산학협력 파트너 기업과 손잡고 해당 기업의 고졸·전문대졸 출신 재직자들을 재교육해 학사나 석·박사급 인재로 키워주는 방안 등을 적극 추진해볼 만하다.
앞서 울산과학대는 울산에너지고와 손잡고 울산 지역 일부 중소기업에 취업한 고졸자를 석·박사급 연구인재로 교육하는 프로그램을 추진해 주목을 받기도 했다. /민병권·김연하기자 newsroo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