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대 초중반에 머물고 있지만 체감 물가는 이보다 높은 2%대 중반을 유지해 실제 물가와 체감적으로 국민들이 느끼는 물가 사이에 간극이 커지고 있다.
10일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전년에 비해 1.4% 올랐다. 반면 한국은행의 물가인식(1년간 소비자들이 인식한 물가 상승률 수준)은 2.5%로 나타났다.
물가인식이란 한은이 전국 2,200가구를 대상으로 조사해 발표하는 수치다. 쉽게 말해 일반인들의 체감 물가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지표인 셈이다.
따라서 체감 물가(2.5%)가 실제 지수물가(1.4%)보다 1.1%포인트 높게 조사된 것이다.
특히 지난 1월에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1.0%, 물가인식은 2.5%로 1.5%포인트로 격차가 벌어지기도 했다.
이처럼 최근 들어 체감·실제 물가 간 간극이 커지고 있다.
체감물가와 실제 물가의 차이는 작년 11월부터 1.2%포인트, 12월 1.0%포인트로 벌어졌으며 이후 4개월 연속 1%대 포인트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해 1∼10월에는 둘 간 격차가 매달 0%포인트대로 낮았다.
최근 들어 지표·체감 물가 격차가 벌어지는 원인은 소비자들의 물가인식이 변하지 않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1.3%, 12월 1.5%, 올해 1월 1.0%, 2월 1.4%를 나타냈다. 그러나 같은 기간 물가인식은 2.5%로 고정됐다.
반면 작년 1∼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8∼2.6% 수준으로 11월 이후보단 비교적 높은 수준이었다. 같은 기간 물가인식 또한 2.5∼2.7%로 기록됐다.
즉 작년 1~10월까지 소비자 물가 및 물가인식이 상대적으로 높은 수치였음에도 이보다 더 낮은 수치를 기록한 최근까지 물가인식의 변동이 없다는 것이다.
이처럼 소비자물가·물가인식의 간극을 일으키는 주원인은 통계청이 소비자물가를 측정하기 위해 조사하는 품목에 있다.
통계청 소비자물가는 460개 품목을 대상으로 조사하지만 소비자들이 자주 구매하는 품목은 그중 일부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소비자들이 상대적으로 가격 하락보다 상승에 민감하게 반응하기 때문에 지표 물가 상승률이 꺾일 때도 체감 물가는 꺾이지 않는 탓도 있다.
그러나 소비자물가와 물가인식의 간극이 계속 커질 경우 경제적 타격이 발생한다. 물가 상승률이 꺾이면 가계의 실질 구매력이 확대돼 소비가 늘어야 하지만 체감 물가 변화가 없으면 가계의 지갑이 쉽게 열리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지표 물가 정확성에 대한 소비자들의 의구심을 키우고 더 나아가 정책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도 있다.
/정가람기자 garamj@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