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 김수민 국민의당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전국 온누리상품권 가맹점 중 대기업 프랜차이즈 매장은 427곳에 달했다. 현재 프랜차이즈 직영점은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이 될 수 없지만 전통시장 내에 있는 프랜차이즈 가맹점의 개인사업자는 가입할 수 있다.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도입된 온누리상품권이 당초 취지와 맞지 않는 곳에서 쓰이고 있는 셈이다.
대기업 프랜차이즈 매장 중 화장품 판매장이 221개로 가장 많았다. 화장품 매장 중 아모레퍼시픽 브랜드인 아리따움이 101개였고 LG 생활건강의 자회사인 더페이스샵이 43개였다.
국내 1위 베이커리 프랜차이즈인 파리바게뜨 가맹점은 62곳, CJ푸드빌이 운영하는 뚜레쥬르는 25곳이었다.
골목상권 침해논란을 빚고 있는 생활용품업체 다이소 21곳과 GS25·CU·세븐일레븐(롯데) 등 대기업 편의점 22곳도 온누리상품권 가맹점에 포함돼 있다. 대기업 프랜차이즈 가맹점들의 온누리상품권 매출은 2014년부터 올해 8월까지 40억7,000만원에 달했다.
김 의원은 “온누리상품권은 전통시장 수요를 진작하고 소상공인을 살리자는 목적으로 도입됐기 때문에 대기업 프랜차이즈 매장에서 대량 유통되는 것은 일반 국민시각에서 납득하기 어렵다”며 “중기부가 온누리상품권의 본래 취지에 맞게 가맹점 제한 규정 등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서민우기자 ingaghi@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