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정책이 어느 한쪽으로부터 공정성에 대해 신뢰를 얻지 못하면 생명력을 잃은 것이나 다름 없습니다.”
김영주 고용노동부 장관은 14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일각에서는 노동현장 출신인 내가 편향적인 노동정책을 펼 것이라고 우려하는 시각이 있다”며 “하지만 나는 어느 한쪽에 치우침 없이 노사 모두로부터 박수 받을 수 있는 공정하고 균형 있는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장관은 또 직원들에게 고용부가 문재인 정부의 제1부처라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의 최우선 과제는 일자리 창출이며 고용부가 일자리 주무부처”라며 “문재인 정부의 제1부처인 고용부가 일자리 정책을 주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는 대통령 직속 일자리위원회의 신설로 고용부의 위상이 약화한 것 아니냐는 시각을 의식한 발언으로 풀이된다.
현안과 관련해서는 산재사고, 임금체불, 부당노동행위, 장시간 근로 등을 근절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 장관은 “현장에서 산재사고, 임금체불, 부당노동행위, 장시간 근로같은 부끄러운 일들이 없어져야 하며, 기업에 책임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이를 개선하도록 지도해야 한다”며 “임금체불의 귀책사유가 원청에 있다면 법과 원칙에 따라 원청이 연대책임을 지도록 해야한다”고 말했다.
특히 장시간 근로에 대한 해결 의지를 내비쳤다. 그는 “일과 삶의 조화를 위해 주당 최대 52시간 근로를 명확히 하고 근로시간 특례 업종의 문제도 개선해야 한다”며 “연장·휴일근로수당을 명확히 하지 않아 장시간 근로를 야기하는 포괄임금제도 개선 방안도 마련하겠다”고 언급했다. /세종=임지훈기자 jhlim@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