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의 전력소비는 오후 2~3시 피크타임이 아닌 저녁 9~10시가 절정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택용 전기요금 누진제를 완화할 경우 전기수요를 급증시킬 수 있다는 정부 주장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결과다.
10일 한국전력 경제경영연구소가 집계한 2015년 8월 주택용 시간대별 전력소비계수를 보면 오후 9시가 1,330으로 가장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전력소비계수는 한전이 시간대별 전력사용 패턴을 알아보기 위해 매년 집계하는 통계로, 1∼24시 월평균 전력사용량을 한 시간 단위 월평균 전력사용량으로 나눈 뒤 1,000을 곱해서 구한다. 1,000을 기준값으로 그보다 높으면 평균보다 많이 썼다는 것을 의미한다.
8월 중 주택용 전력소비계수를 시간대별로 보면 주로 퇴근 후 전력소비가 많이 이뤄졌다.
오후 6시 1,091에서 △오후 7시 1,177 △오후 8시 1,275로 올라가 오후 9시 정점을 찍었다. 이후 오후 10시 1,321 △오후 11시 1,255 △자정 1,126으로 떨어졌다.
일반적인 전력소비 피크 시간인 오후 2시는 1,016, 오후 3시는 1,017로 저녁에 비하면 높지 않은 수준이었다.
다만 봄·가을·겨울에는 출근 시간대인 오전 8∼10시 전력소비계수가 낮보다 높은 데 비해 여름에는 정오 이후로 차츰 높아지는 차이를 보였다.
이와 함께 주택의 전체 에너지 소비 중 전력사용의 비중은 저소득층에게서 오히려 더 크게 나타났다.
2007년부터 매년 3년간 진행되는 산업통상자원부·에너지경제연구원의 에너지총조사 통계를 보면 2013년 기준 전체 에너지 소비 중 전력이 차지하는 비중은 월평균 소득 100만원 미만 가구의 경우 29.4%에 달하는 반면 △100만∼200만원 미만 26.8% △200만∼300만원 미만 25.2% △300만∼400만원 미만 22.9% △400만∼500만원 미만 22.2%로 떨어졌다.
500만∼600만원 미만은 22.7% 600만원 이상은 24.6%로 다시 올라갔지만, 여전히 100만원 미만 가구보다 낮았다.
김진우 연세대 글로벌융합기술원 특임교수는 “피크 때 산업·일반(상업)·주택용 전력소비를 보면 주택용의 비중은 얼마 안 된다”며 “가정에서의 소비 때문에 (전력 대란이) 우려된다고 하는 것은 제일 작은 새끼손가락을 놓고 제일 길다고 하는 셈”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누진제는 원래 저소득층에 혜택을 주려고 만든 것인데 지금은 고소득 1인용 가구에 대한 지원이 돼 원래의 의미를 퇴색했다”며 “일반 가정이 겪는 불편에 비해 절약 효과 또한 적다”고 말했다.
/세종=박홍용기자 prodigy@sedaily.com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