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구면에서 세계 최대 경제블록으로 지난달 20일 발효된 중국-아세안(ASEAN) 자유무역협정(FTA)이 국내기업의 수출경쟁력에 막대한 위협요인이 될 것으로 분석됐다. 한국 수출의 3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과 아세안이 하나의 시장으로 통합됨에 따라 양 지역간 협력이 가속화하는 한편 중국ㆍ아세안에서 시장우위를 점하고 있는 일본의 지배력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기업은 “중국ㆍ아세안간 관세철폐로 인한 위협이 당장 가시화하는 것은 아니다”며 근시안적 대응태도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산업자원부는 25일 ‘중-아세안 10개국간 FTA 한 달이 한국에 미친 영향’이란 보고서를 통해 “우리나라 대중 수출의 81%를 점하는 200대 품목 중 180여품목이 중국 시장에서 아세안 국가들과 경합 중”이라고 소개했다. 산자부는 또 “인도네시아ㆍ태국ㆍ말레이시아ㆍ필리핀 등 아세안 선발 국가들에 대한 100대 수출품목 중 60개 이상이 해당국 시장에서 중국과 경합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보고서는 “중-아세안 FTA에 대한 우리 기업들의 관심이 적다”면서 그 이유로 “중국에서 아세안 국가들에 비해 품질 등의 측면에서 경쟁력이 있어 FTA에 따른 관세인하 효과가 당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일본의 유수기업들은 이미 중-아세안 FTA에 대비해 생산거점뿐 아니라 물류거점까지도 조정하는 등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는 반면에 국내 기업들은 이를 외면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에 따라 중국ㆍ아세안 시장에서 가장 강력한 경쟁국인 일본은 우리와 달리 중국ㆍ아세안 국가들과 보완관계를 유지하며 양 지역의 경제성장을 일본제품의 수요증가로 견인하고 있다고 산자부 관계자는 설명했다. 산자부 관계자는 또 “기업의 이 같은 근시안적 대응은 향후 중국-아세안에 대한 수출증가에 큰 장애요인으로 작용할 우려가 높다”며 “한중 관계도 중국산업의 고도화에 따라 보완관계에서 경쟁관계로 바뀌고 있음을 예의주시해야 한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