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 17일 현재 일본 투자자들이 보유한 국내 주식 규모는 6조7,561억원으로 전체 외국인 투자금액의 1.7%에 머물고 있다. 보유 채권 규모도 전체 외국인 투자 규모의 0.56%(5,66억원)에 불과하다. 여기에 국내 기업들이 일본에서 엔화로 조달한 사무라이본드 자금 7,621억엔(약 10조8,756억원)을 더하면 국내에 투자된 일본 자금은 18조1,513억원 정도다. 주식과 채권에 투자한 전체 외국인 투자규모가 469조5,460억원인 점을 감안할 때 극히 미미한 수준이다.
특히 국내 주식과 채권에 투자한 일본 자금은 100% 개인 투자자금이기 때문에 양국간 외교분쟁이 지금보다 더 나빠지더라도 이들 자금이 국내에서 이탈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금감원의 한 관계자는 “지난 10일 이명박 대통령의 독도 방문 이후 주식이나 채권에 대한 일본인의 투자금액은 오히려 늘었다”며 “개인 투자자금은 경제논리로 움직이는 경향이 강한 만큼 양국관계 악화에 따른 자금 이탈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지난 10일 이후 4거래일간 일본 투자자들은 국내 증시에서 22억원 가량을 사들였고 채권시장에서도 소폭이나마 순매수를 기록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