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2002재계 떠오르는 '뉴 리더'] <5> 현대車
입력2002-03-21 00:00:00
수정
2002.03.21 00:00:00
document.write(ad_script);
[2002재계 떠오르는 '뉴 리더']현대車
실세·3세대·현장출신 3축 부상
현대차 그룹에서는 정몽구(MK) 회장의 측근 실세들과 '로열 패밀리' 3세대, 현장 출신 전문가 그룹 등 세 축이 뉴 리더로 부상하고 있다.
특히 올해 정몽구 회장의 장남인 정의선(32) 현대차 국내영업본부 부본부장은 불과 1년만에 상무에서 전무로 승진한 데다 현대모비스 등기이사로도 선임돼 '경영권'에 한발짝 더 다가섰다.
이는 '의리와 인연', '기본과 성실'을 중시하는 MK의 인사 스타일과 함께 친정 체제 구축으로 '3세 경영 구도'를 가시화하겠다는 의지를 반영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우선 현대모비스(옛 현대정공) 및 현대차써비스 출신을 중심으로 MK 측근 실세들의 역할이 대폭 강화된 게 눈에 띈다.
박정인(59) 현대모비스 회장은 지난 15일 현대차 주주총회에서 최근 물러난 이충구 전 사장 대신 새 등기이사로 선임됨에 따라 그룹 지주회사인 모비스와 함께 현대차에서도 역할이 강화됐다.
박 회장은 지난 77년부터 MK를 보필해 현대모비스를 세계 최대 규모의 컨테이너 회사로 성장시킨 1등 공신이었으나, 공을 내세우지 않고 겸손하게 처신하면서 정 회장의 남다른 신임을 얻었다는 게 그룹 안팎의 평가다.
한규환(52) 현대모비스 사장은 올 1월 대표이사 사장으로 취임한 정통 엔지니어 출신. 기계 및 자동차 등에 해박한 지식을 갖고 있으며 특히 세계 4번째로 자기부상열차를 개발, 한국 철도차량 기술을 한 차원 끌어올렸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중우(54) 현대차 경영지원본부장도 현대정공 총무부장 시설부터 정 회장을 보필해온 인물.
지난해 말 정기인사와 관계없이 부사장으로 승진, 실세로 꼽히는 전문경영인이다.
이상기(51) 현대캐피탈 사장은 99년 상무에서 불과 2년만인 지난해 7월 대표이사 사장에 취임했다.
다이너스 카드 인수를 통해 신용카드업에 진출하는 등 자동차 할부금융을 일으킨 공로를 인정 받았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 사장은 앞으로도 카드와 할부금융을 중심으로 그룹내 금융사업의 미래를 그려나갈 것으로 보인다.
'MK 라인의 대부'로 꼽히는 유인균(62) INI 스틸 회장은 그룹 철강 사업을 이끄는 실세 중 실세로 꼽힌다. 정 회장과는 경복고 동기동창으로 평생 생사고락을 같이 해왔다.
지난해 10월 대표이사로 취임한 김동진(52) 현대차 총괄사장도 이충구 전 사장의 사퇴에 따라 사내에서 발언권이 더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10월 선임된 정학진(52) 로템 사장도 현대 모비스 출신으로 지난 99년 기아차 재경본부 부사장을 역임했으며 올 1월부터 한국철도차량공업협회 회장으로도 활동 중이다.
현대차ㆍ삼미특수강 등 계열사에 고루 포진하고 있는 고(故) 정주영 명예회장의 손자 및 손녀 사위들이 전면 부상한 것도 이번 인사의 특징으로 꼽힌다.
우선 정의선(32) 현대차 국내영업본부 전무는 1년만에 한단계 더 승진한 데다 지난 16일 그룹 지주회사격인 현대모비스의 등기이사로 선임됐다.
특히 그는 MK가 올해 세계박람회 유치에 전념하고 있는 만큼 조만간 본부장(부사장급) 직책을 맡아 경영핵심에 더 가까워질 것이라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정 전무는 입사 후 구매실장과 AS총괄본부 부본부장, 영업지원사업부장 등 '요직'을 두루 돌며 경영수업을 쌓고 있는데 이번에 내수판매를 총괄하는 국내영업본부 부본부장으로 옮긴 것도 경영수업의 일환으로 보인다.
정 회장은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자식 자랑을 하는 사람은 팔불출"이라면서도 "외국에도 40대 사장이 많다"고 언급, 경영권 승계 의사를 우회적으로 밝힌 바 있다.
또 MK의 조카인 정일선(정몽우씨 장남ㆍ32) 삼미특수강 전무도 올 초 승진했으며, 셋째 사위인 신성재(34) 현대하이스코 전무도 이사에서 두 단계나 뛰어올랐다.
둘째 사위인 정태영(42) 현대ㆍ기아차 구매총괄본부 부본부장은 올해 승진하지는 못했으나 현대차와 기아차의 자재 관리와 구매 기능을 통합하는 요직에 중용됐다.
연구개발(R&D)과 생산, 영업 등 현장 전문가들도 그룹의 새로운 리더 축으로 떠올랐다.
이는 국제경쟁력을 갖춘 신차 개발과 한단계 높은 품질 확보로 최상의 영업력을 유지하려는 포석에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성병호(56) 현대차 해외영업본부장이 대표적 주자. 성 본부장은 옛 현대정공 시절 공작기계본부장을 맡았던 엔지니어 출신으로 부사장으로 승진했으며, 김상권(56) 연구개발본부장, 전복길(58) AS본부장 등도 부사장으로 승진했다.
또 현대차에서는 안주수(54) 울산 엔진변속기 공장장을 전무로 올려 아산공장장에 임명하고 윤여익(54) 울산1공장장과 이문희(53) 2공장장도 전무로 진급시키는 등 주요 5개 공장의 공장장을 승진 발령했다.
기아차에서는 전명헌(60) 해외영업본부장, 전천수(56) 광주공장장, 김재만(56) 소하리 연구소장이 부사장으로 영전했고 김성환(57) AS사업부장은 전무가 됐다. 현대모비스도 정형모(51) 구매본부장, 이여성(52) 해외영업본부장, 최정식(55) 기술연구소장이 전무로 올라섰다.
최형욱기자
오늘의 핫토픽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