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민주당 유력 대선주자로 거침없는 상승세를 타던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의 행보에 제동이 걸렸다. 이미 지난 3월 이슈가 됐던 '개인 e메일 사용' 논란이 다시 수면 위로 부상하면서 클린턴 전 장관에 대한 신뢰에 금이 가고 있다. 특히 이번에는 당국의 조사 결과 e메일에서 기밀사항이 발견되는 등 사태가 심각해지고 있어 클린턴 전 장관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전망된다.
24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임명한 2명의 감찰관이 클린턴 전 장관의 국무장관 재임 시절 사용한 개인 e메일을 조사한 결과 기밀로 분류될 수 있는 4건 이상의 e메일을 발견했다고 보도했다. 감찰관들은 "총 3만건 이상의 e메일을 전수조사할 경우 기밀로 분류할 수 있는 e메일이 수백건에 이를 수도 있다"고 보고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23일 뉴욕타임스(NYT)는 감찰관들이 법무부에 클린턴 전 장관에 대해 법무부에 정식 수사를 요청했다고 보도했지만 이는 오보로 감찰관들은 단지 조사를 의뢰한 것으로 확인됐다. NYT는 이날 "정부 고위관리들을 인용한 이 기사가 법무부에 대한 의뢰의 성격을 잘못 보도했다"며 "그 의뢰는 개인 e메일 계정과 관련된 기밀정보의 잠재적 위험을 다룰 것을 요구한 것으로 클린턴 전 장관에 대한 조사를 정식으로 요청한 것은 아니다"라는 정정기사를 내보냈다.
클린턴 전 장관은 강력하게 반발했다. 이날 아이오와주 윈터셋에서 유세에 나선 그는 "나는 그 당시 기밀로 분류되는 정보를 받은 적도, 보낸 적도 없다"며 "감찰관들이 기밀정보를 담고 있다고 밝힌 e메일 4건이 무슨 e메일을 말하는지 전혀 모르겠다"고 항변했다. 또 법무부 조사와 관련해 "이것을 문제 삼을 수 있지만 그것은 그들이 결정할 문제로 나는 사실이 무엇인지만 말하겠다"고 밝혔다.
공화당은 즉각 공세를 퍼부었다. 존 베이너 하원 의장은 "만약 클린턴 전 장관이 정말 숨길 게 없다면 서버를 당국에 즉각 넘겨 완전한 기록을 점검하도록 해 이를 입증해야 한다"고 몰아세웠다. 의회 벵가지 사건 조사특위의 트레이 가우디 위원장도 "다른 기밀정보의 존재 여부를 위해 그 서버의 내용을 조사할 충분한 이유가 있다"고 거들었다.
조 바이든 부통령의 대선 출마 가능성도 클린턴 전 장관의 대선가도를 불안하게 하는 요인이다. 바이든 부통령의 지지단체인 '드래프트 바이든'은 이날 바이든의 출마를 촉구하는 동영상을 제작해 e메일과 소셜미디어에 공개하며 그의 출마가 임박했음을 예고했다. 지금은 클린턴 전 장관이 민주당에서 독주체제를 굳히고 있지만 바이든 부통령이 출마하면 당 경선구도에 적잖은 변화가 예상된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