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룡마을 개발 방식을 놓고 서울시와 충돌했던 강남구가 이번에는 현대자동차그룹의 한국전력 부지 개발 과정을 두고 갈등을 빚고 있다. 특히 신연희 강남구청장은 구룡마을 사태와 지난달 29일 시가 강남구 학여울역 인근에 추진 중인 동남권 시민청 문제를 두고 시의 행정을 비판한데 이어 다시 한번 한국전력 부지 처리문제와 관련해 시에 대한 맹공을 퍼부었다.
강남구는 5일 낸 자료를 통해 서울시가 현대차 부지 개발 과정에서 담당 구청과 협의하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구는 시가 사전 협의 없이 지구단위계획구역에 도시계획시설인 잠실운동장을 포함한 것을 근거로 들었다. 운동장은 현행 국토계획법령상 지구단위계획에 포함할 수 없는데도 시가 무리하게 지구단위계획구역을 확장하려 하고 있으며, 이는 현대차그룹이 기부한 토지를 강남구가 아닌 다른 지역에 사용하려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아울러 현대차 부지 개발에 따른 공공 기여를 밤고개로 확장과 올림픽대로·동부간선도로 개선 등 강남구 내 기반시설을 확충하는 데 사용해달라고 촉구했다.
이에 대해 시는 절차적 문제가 없다며 즉각 반박하고 나섰다. 시는 "잠실주경기장 리모델링 비용을 현대차그룹의 공공기여로 충당하는 등의 내용은 지난해 4월 발표한 코엑스∼잠실운동장 국제교류복합지구 종합개발계획에 포함됐던 내용으로 절차상 문제가 없다"며 "운동장 부지를 지구단위계획구역에 포함한 것은 운동장을 국제업무, 전시 컨벤션, 문화엔터테인먼트 시설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하기 위한 것으로 필요하면 주민설명회도 열 것"이라고 해명했다. /양사록기자
서울시 "불법 주·정차 포켓주차장으로 해결"
불법 주·정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인도 옆 차도를 주머니 형태의 주차장으로 만들어 사용하는 이른 바 '포켓주차장'이 서울시에서 처음으로 동대문종합시장에 설치된다.
동대문종합시장 앞은 불법 주·정차된 오토바이가 도로와 보도의 혼잡을 유발하고 있는 대표적인 지역으로, 보도 일부에 울타리를 설치해 오토바이 일부가 임시 주·정차를 하고 있지만 제대로 된 주차시설이 아니어서 경찰이 이로 인한 갈등 예방을 위해 상주하며 관리해왔다. 이의 해결방안으로 시는 차량과 보행자가 적게 다니는 야간 시간대 공사를 통해 다음 달 말까지 동대문종합시장 포켓주차장을 완공하기로 했다. 시는 동대문종합시장을 시작으로 올해 종로구와 중랑구, 서초구, 중구 등 13곳에 포켓주차장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양사록기자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