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표일이 이틀 앞으로 다가왔지만 정당의 공약과 인물을 검증하지 못한 유권자를 위한 조언이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가 9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검증 가이드를 내놓았다. 집으로 배달온 선거공보물 앞부분을 차지한 후보자의 과장된 과거나 미담 사례는 선택을 위한 정보가 아닌 방해 요소다. 정책 공약이 담긴 공보물 뒷부분을 후보별로 펼쳐놓고 가정에서 씀씀이를 결정하듯 꼭 필요한 일인지, 돈은 얼마나 들고 어떻게 마련할지 살펴보면 된다.
특히 학교를 유치하거나 길을 넓혀주며 재개발ㆍ재건축을 하는 일은 국회의원보다는 지방자치단체장의 일이다. 선거 때마다 공약하지만 달성하지 못하는 이유다. 그럼에도 덮어놓고 찍은 결과 일부 지방의 국제공항처럼 등 각 지역 후보가 저마다 내세우다 나라 전체의 균형은 물론 각 지역의 발전도 실패한 결과를 낳았다.
실제 18대 총선 공약 가운데 지키지 못한 공약의 80% 이상은 재건축ㆍ재개발, 국책사업 유치나 조성, 도로 건설 관련 공약이었다. 복지와 경제민주화를 내세운 이번 총선에서도 새누리당은 도로 건설을, 민주통합당은 국책사업 유치나 조성이 공약 가운데 제일 많았다. 정당이 내세운 목표와 후보가 제시한 방법이 엇갈리는 셈이다. 특히 지자체 가운데 채무가 높은 곳에서 후보자가 설익은 복지나 개발 공약을 내세울 경우 재정난을 가중시켜 주민의 피해로 돌아갈 수 있다. 많은 후보자가 지역구 산업단지에 대기업 유치를 내세웠지만 상당수는 해당 기업이 검토조차 하지 않았다.
매니페스토실천본부 측은 "대규모 택지 개발이나 도로 건설 공약이 사라지지 않는 것은 후보자가 선거 공약을 치적 쌓기로 봐 눈에 띄는 결과물을 만들려고 하기 때문"이라면서 "유권자가 보기에만 화려한 공약에 속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