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etSectionName(); "새 고액권 보자" 은행마다 북새통 5만원권 유통 첫날 표정'일련번호 AA'에 일부 고객 "소장용 보관"발행규모 당초 예상 웃돌아 1조6,000억 달해 홍준석기자 jshong@sed.co.kr 김영필기자 susopa@sed.co.kr 김태성기자 kojjang@sed.co.kr 5만원권 지폐가 시중에 유통되기 시작한 23일 오전 한국은행 화폐수급팀 객장에서 시민들이 5만원권 지폐를 교환하기 위해 긴줄을 서고 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23일 하루만 1조원 가량이 유통되었고 시중 10만원짜리 자기앞수표의 유통은 점차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김동호기자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5만원권이 23일 오전9시를 기해 시중에 풀렸다. 시중은행 창구에는 신권을 교환하려는 고객들로 북적거렸고 유통업체들은 일제히 5만원권 마케팅을 선보였다. 지난 1973년 1만원권 발행 이후 36년 만에 선보인 새 고액권에 대한 뜨거운 열기로 이날 발행규모는 당초 예상보다 3,000억원가량 많은 1조6,000억원에 달한 것으로 집계됐다. 시중은행 영업점은 오전9시 개장과 동시에 5만원권을 받아가려는 고객들의 발길이 계속 이어졌다. 일부 은행 지점에서는 5만원권 교환장수를 4~20장 정도로 제한을 두기도 했다. 우리은행 본점 영업부에서는 이날 고객들이 5만원권을 약 7억원 가까이 바꿔갔다. 우리은행을 찾은 한 고객은 "5만원권 앞의 일련번호가 AA로 시작하고 마지막이 A로 끝나는 5만원권을 받아 기분이 좋다"며 "소장용으로 보관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은은 빠른 번호(AA*******A) 100만장 가운데 1~100번은 한은 화폐금융박물관에 전시하고 101~2만번은 오는 7월에 일반인을 대상으로 인터넷 경매를 실시한다. 신한은행 방화동 지점도 5만원권을 구하려는 이들로 북새통을 이뤘다. 안호수 신한은행 방화동 지점 부지점장은 "5만원권을 1억5,000만원 배정받았는데 오후까지 1억원 정도가 나갔다"며 "오후까지 내점 고객은 물론 전화문의가 계속 이어졌다"고 전했다. 기업은행 본점 영업부의 한 직원은 "혼자서 30여명의 고객에게 5만원권을 교환해줬다"며 "주로 40~60대 등 연령대가 높으신 분들이 신권을 많이 찾으신다"고 말했다. 한은은 당초 5만원권에 대한 인출수요가 1조3,530억원으로 잠정 파악됐으나 당일 금융기관의 인출 및 한은 창구에서의 화폐교환 등으로 총 1조6,462억원이 발행됐다고 밝혔다. 정상덕 한은 발권정책팀 차장은 "당초 예상보다 많이 인출됐는데 이는 5만원권에 대한 관심이 많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일부 지점에서는 5만원권이 5,000원권과 헷갈린다는 지적과 5만원권을 쓸 수 있는 현금입출금기(ATM)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불만도 있었다. 식품ㆍ유통업계는 당장 5만원권 유통의 효과를 보기는 어렵지만 신권이 점차 소비를 촉진할 것이라는 기대감을 나타냈다. 이날 오후 서울 압구정동 갤러리아백화점에서는 아직 실제로 매장에서 신권이 사용되는 경우가 거의 눈에 띄지 않았지만 5만원권에 대한 관심을 나타내는 소비자들이 많이 보였다. 이곳 매장의 한 관계자는 "백화점이 마련한 신권 이벤트를 보고 일부 고객들이 '이제 수표 안 가지고 다녀도 되겠다'며 반기는 모습도 보였다"며 "백화점은 카드사용 비중이 높지만 고액권 자체가 특수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마트 용산점의 한 관계자는 "유통업계가 고객을 끌어들이기 위해 기획하는 사은품 행사 대상기준도 신권발행으로 더 올라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구매금액도 올라가고 거스름돈으로 제품을 추가로 구입할 가능성도 클 것"이라고 말했다. 5만원 안팎의 와인상품 구색을 늘리는 등 신권 마케팅 준비를 마친 와인업계도 이날 하루 판촉에 열을 올리는 등 분주한 모습이었다. 와인유통업체인 와인나라의 한 관계자는 "5만원권 발행으로 기존 2만~3만원대 와인을 구입하던 소비자들이 한번에 두 병을 구입하거나 가격대를 높여 4만~5만원대 와인을 구입하는 경우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고 말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