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국발 스모그와 미세먼지가 우리나라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는 가운데 초미세먼지 농도가 일정 수준 이상 높아지면 급성심정지 발생률이 10% 이상 증가한다는 국내 연구 결과가 나왔다.
17일 오세일(사진)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교수팀이 지난 2006∼2013년 서울에서 발생한 급성심정지 2만1,509건과 초미세먼지 농도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초미세먼지 농도가 하루 평균 50㎍/㎥ 이상일 경우 급성심정지 발생률이 13%나 높아졌다. 또 서울의 하루 초미세먼지 농도가 10㎍/㎥씩 높아질수록 급성심정지 발생률은 1.3%씩 증가했다.
이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제1저자 강시혁 분당서울대병원 전임의)은 '국제심장학회지(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최신호에 발표됐다.
급성심정지란 심장 박동이 중지해 사망에 이르는 상태로 심장질환자뿐 아니라 평소 건강한 사람에게도 갑자기 올 수 있다. 급성심정지는 발생 시간과 방식을 예측하기 어렵고 전조 증상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조 증상이 있더라도 아주 짧은 증상이 있은 후 나타난다. 국내에서는 연간 2만5,000∼3만여건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여성보다는 남성, 젊은 층보다는 60세 이상의 고령, 정상인보다는 고혈압이나 당뇨 등의 만성질환이 있는 사람에게서 초미세먼지에 따른 급성심정지 발생 위험이 높았다. 또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당일보다는 1∼2일 후 급성심정지 위험률이 가장 높았다.
연구팀은 이처럼 초미세먼지가 건강에 악영향을 주는 것이 확인되고 있는 만큼 국내 초미세먼지 환경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우리나라는 초미세먼지 환경기준으로 연평균 25㎍/㎥, 하루 평균 50㎍/㎥으로 24시간 이동평균 농도가 65㎍/㎥ 이상이면 주의보가 발령된다. 반면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의 초미세먼지 권고 기준은 각각 연평균 10㎍/㎥, 12㎍/㎥으로 우리보다 엄격하다.
오 교수는 "환경기준치로 볼 때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농도에서도 급성심정지 위험은 상대적으로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면서 "초미세먼지 입자가 호흡기뿐 아니라 혈관으로도 흡수돼 뇌졸중이나 심장질환을 일으키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초미세먼지는 먼지 중에서 가장 작은 것을 말한다. 1㎜의 1,000분의1이 1㎛(마이크로미터)인데 지름이 10㎛보다 작은 먼지를 미세먼지(PM10)라고 한다. 또 미세먼지 중 지름이 2.5㎛보다 작은 먼지를 초미세먼지(PM2.5)로 부른다. /송대웅기자 sdw@sed.co.kr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