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동십자각]숏폼 너머 AI의 가치를 찾아서
    [동십자각]숏폼 너머 AI의 가치를 찾아서
    IT 2025.10.12 18:01:06
    30년 전 인터넷의 확산으로 사람들은 지식과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됐다. 이 시대를 대표하는 서비스가 검색이다. 네이버는 한국 이용자들이 디지털 지식과 정보에 다가갈 수 있는 길을 열며 국가대표 정보기술(IT) 기업으로 성장했다. 2009년 애플이 스마트폰을 내놓자 정보·서비스 접근의 시공간 제약도 크게 줄었다. 실시간 소통이 가능해진 모바일 시대를 상징하는 국내 서비스가 바로 카카오톡이다. 인공지능(AI)은 지식과 정보의 흐름 자체를 바꾼다. 과거에는 우리가 정보를 찾아다녔다면 이제는 AI가 지식을 내 앞으로
  • 베일 벗은 '치지직 XR'…네이버 "XR 생태계 조기 선점"
    베일 벗은 '치지직 XR'…네이버 "XR 생태계 조기 선점"
    IT 2025.10.12 17:41:01
    네이버 스트리밍 플랫폼 ‘치지직’의 확장현실(XR) 기기 특화 버전이 베일을 벗었다. 삼성전자(005930)가 구글·퀄컴과 이달 출시할 것으로 예상되는 XR 헤드셋 ‘무한’(가칭)에서 가장 먼저 치지직 XR 앱을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관측된다. 차세대 폼팩터(기기형태)로 부상하는 XR 생태계를 조기에 선점해 플랫폼 경쟁력을 강화하려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12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최근 네이버는 XR 기기 특화 앱인 ‘치지직 XR’을 구글 플레이에 등록했다. 컴퓨터·스마트폰 외에 안드로이드 XR
  • "공공 클라우드 전환" 외치면서 장벽 높이는 정부
    "공공 클라우드 전환" 외치면서 장벽 높이는 정부
    IT 2025.10.12 17:40:13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를 계기로 공공 정보기술(IT) 시스템의 클라우드 전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지만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의 공공 분야 진입 움직임이 되레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 클라우드 정책을 펼치는 부처 간 중복 규제로 인해 IT 업체들이 정부 인증 절차를 받기를 꺼려하는 탓이다. 12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공시에 따르면 클라우드 보안인증제(CSAP) 인증서 발급 건수는 올해 들어 현재까지 42건을 기록했다. 지난해 발급 건수는 총 78건으로 지금 추세라면 전년 대비 올해 발급 규모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C
  • 제논 "AI 플랫폼 구축, 한달이면 뚝딱…속도·안정성 강점"
    제논 "AI 플랫폼 구축, 한달이면 뚝딱…속도·안정성 강점"
    IT 2025.10.12 17:37:43
    기업들의 AI 솔루션 구축 바람이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국내 주요 대기업과 금융권의 러브콜이 끊이지 않는 AI 플랫폼 스타트업이 있다. 회사 설립 이후 생성형 AI 솔루션 구축 프로젝트 경험만 200건을 넘어섰고, 이를 발판으로 제조·공공 등 다양한 산업으로 사업 영역을 빠르게 넓혀가고 있다. 국내 AI 플랫폼 전문 스타트업 '제논'의 얘기다. 고석태(사진) 제논 대표는 10일근 서울 강남구 양재동 사무실에서 서울경제신문과 만나 "제논은 국내 AI 기업 중 금융사를 대상으로 가장 많은 생성형
  • "애플, 후계자 선정 들어갔다"…65세 팀 쿡 뒤이을 새 CEO 후보 누군가 보니
    "애플, 후계자 선정 들어갔다"…65세 팀 쿡 뒤이을 새 CEO 후보 누군가 보니
    IT 2025.10.12 13:36:06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곧 만 65세를 맞이하면서, 애플 내부에서 후계 구도가 논의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11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애플은 쿡 CEO의 승계 계획을 지금부터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쿡 CEO가 은퇴나 사임과 관련해 구체적으로 밝힌 바는 없지만, 향후 원활한 리더십 이양을 위한 절차를 미리 추진 중이라는 것이다. 쿡 CEO는 2011년 스티브 잡스의 뒤를 이어 애플을 이끌기 시작했다. 오는 11월 1일이면 만 65세가 된다. 잡스가 아이폰 등 혁신적인 기기를 통해 ‘기술
  • 상빈기 국내외 특허출원 소폭 증가… 중국인 韓 출원도 두드러져
    상빈기 국내외 특허출원 소폭 증가… 중국인 韓 출원도 두드러져
    IT 2025.10.12 12:00:00
    올해 상반기 한국인의 국내외 특허출원이 지난해와 비교해 모두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외국인의 국내 특허출원 양상에서는 중국인의 국내특허 출원 증가가 두드러졌다. 12일 지식재산처와 한국지식재산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이 담긴 ‘2025년 상반기 지식재산 출원 동향’ 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국내 특허출원은 총 10만 9322건으로 집계됐다. 이중 내국인의 국내 특허출원은 총 8만 3815건으로 지난해 상반기(8만 2472건)와 비교하면 1.6% 증가했다. 외국인의 국내 특허출원은 국적별로 다른 양상을 보였다. 미국
  • LG유플러스, 멤버십 ‘유플투쁠’ 참여건수 1500만 돌파
    LG유플러스, 멤버십 ‘유플투쁠’ 참여건수 1500만 돌파
    IT 2025.10.12 10:04:55
    LG유플러스는 가입자 멤버십 프로그램 ‘유플투쁠’의 참여 건수가 지난해 4월 시작 이후 누적 1500만 회를 돌파했다고 12일 밝혔다. 유플투쁠은 가입자에게 쇼핑·식음료·문화·라이프스타일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할인 쿠폰 등 혜택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제휴사 중 CGV가 가장 인기를 얻었고 컴포즈커피, 다이소가 뒤를 이었다. 연령별로는 10대는 롯데시네마와 오션월드, 20대는 밀리의서재와 배달의민족, 30대는 노브랜드와 매드포갈릭을 주로 이용했다. 유플투쁠은 이달 신규 8개를 포함해 제휴사 47
  • ‘SK AI 서밋’ 내달 개최…네이버·카카오·앤트로픽 수장 모인다
    ‘SK AI 서밋’ 내달 개최…네이버·카카오·앤트로픽 수장 모인다
    IT 2025.10.12 09:52:57
    SK그룹이 다음달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연례 인공지능(AI) 행사 ‘SK AI 서밋’을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반도체, 에너지 솔루션, AI 데이터센터, 에이전트(비서) 서비스 등 SK그룹의 AI 경쟁력을 소개하고 글로벌 빅테크와 최신 동향과 발전 방향을 공유하는 행사다. 지난해 기준 온·오프라인 합쳐 3만 명 이상이 참석했다. 올해 행사에는 최태원 SK그룹 회장을 포함해 정신아 카카오 대표, 벤 만 앤트로픽 공동창업자, 팀 코스타 앤비디아 반도체엔지니어총괄 등 빅테크 핵심 인사가 참석한다. 또 국가 AI 생
  • "너무 촌스러웠는데 이젠 예뻐 보여"…아이폰17 인기에 갤럭시에도 등장한 '이 색상'
    "너무 촌스러웠는데 이젠 예뻐 보여"…아이폰17 인기에 갤럭시에도 등장한 '이 색상'
    IT 2025.10.12 09:35:04
    애플이 아이폰17 프로 시리즈의 메인 색상으로 ‘코스믹 오렌지’를 내놓자, 삼성전자가 차세대 플래그십인 갤럭시 S26 울트라에 유사한 오렌지 색조를 적용한 것으로 보이는 시제품이 등장해 눈길을 끌고 있다. 10일(현지시간) 미국 IT 전문매체 9to5Google은 갤럭시 S26 울트라로 추정되는 더미(시제품) 이미지를 공개했다. 공개된 사진 속 기기는 기존 갤럭시 S25 울트라에는 없던 새로운 카메라 섬 디자인이 적용돼 있다. 두께는 전작보다 0.3mm 줄어든 7.9mm로 알려졌으며, 조리개값 개선을 통해 ‘카툭튀’(카메라 돌출)
  • 닭강정 국제에미상 수상할까…웹툰 기반 콘텐츠 인기 여전
    닭강정 국제에미상 수상할까…웹툰 기반 콘텐츠 인기 여전
    IT 2025.10.12 08:00:00
    미국 대표 글로벌 방송상인 국제에미상 후보에 오른 네이버웹툰 원작 넷플릭스 드라마 닭강정의 수상 가능성에 관심이 집중되고 이다. 12일 국제에미상 웹사이트에 따르면 제53회 국제에미상 코미디 부문 후보에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닭강정’이 포함됐다. 국제에미상은 캐나다의 반프 TV 페스티벌, 모나코의 몬테카를로 TV 페스티벌과 함께 세계 3대 방송상으로 불린다. 닭강정은 프랑스 ‘아이리스’, 영국 ‘루드윅’, 멕시코 ‘이 레가론 데 노체’와 경쟁한다. 수상작은 다음 달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에서 공개된다. 박지독 작가의 동명
  • [영상] "와, 이제는 소름돋을 지경"…인간 속도 똑같이 따라온 로봇 등장
    [영상] "와, 이제는 소름돋을 지경"…인간 속도 똑같이 따라온 로봇 등장
    IT 2025.10.11 21:33:27
    미국 로봇 스타트업 피규어 AI(Figure AI)가 새로운 버전의 휴머노이드 로봇 '피규어03(Figure 03)'을 공개했다. 기존 모델 대비 성능이 크게 향상돼, 두 배 빠른 움직임이 가능해지는 등 인간 수준의 작업 속도를 구사할 수 있게 됐다는 설명이다. 10(현지시간) 피규어 AI는 새 휴머노이드 로봇 '피규어03'의 향상된 작업 모습이 담긴 영상을 공개했다. 설명에 따르면 카메라 성능이 두 배 빨라지고 지연 시간이 25% 감소했다. 시야각은 60% 확대되어 복잡한 공간에서도 빠르고 정확
  • 국정자원 중단 시스템 4개 추가 복구…복구율 34.1%
    국정자원 중단 시스템 4개 추가 복구…복구율 34.1%
    IT 2025.10.11 19:31:13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내 리튬이온 배터리 화제 여파로 중단됐던 시스템 가운데 4개가 추가 복구됐다. 다만 1등급 시스템 복구는 여전히 제자리 걸음했다. 국정자원 화재 관련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11일 오후 6시 기준 서비스를 중단한 정보시스템 709개 중 누적 242개를 복구했다고 밝혔다. 이날 추가 복구한 시스템은 4개이며 전체 복구율은 34.1%를 기록했다. 추가 복구 시스템은 △감사원 감사자료분석시스템 △교육부 DNS △국가데이터처 차세대Census △국가데이터처 보건분류시스템이다. 다만 이용자가 많은 1등급 시스템은 전날과
  • AI 데이터 해자와 할루시네이션 [안병익의 푸드테크 세상]
    AI 데이터 해자와 할루시네이션 [안병익의 푸드테크 세상]
    IT 2025.10.11 15:56:55
    “우리에게는 해자(Moat)가 없고, 오픈 AI에게도 없다. 불편한 진실은 인공지능(AI) 경쟁에서 승리할 회사는 우리나 오픈 AI가 아니라는 것이다.” 이 글은 2023년 구글의 사내 메시지로 AI 시대의 진정한 승자는 플랫폼 기업이 아니라 데이터 해자 기업이라는 것을 암시한다. ‘데이터 해자’는 기업이 구축하는 독점적 데이터 자산을 의미한다. 이 개념은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해 성을 둘러싼 해자처럼, 경쟁자가 접근하기 어려운 데이터 자산을 구축하여 경쟁력을 지키는 것에서 유래했다. 데이터 해자를 보유한 기업은 경쟁자가 쉽게 따라올
  • 구글도 "사무실로 들어와라"…美 RTO 바람 거세진다
    구글도 "사무실로 들어와라"…美 RTO 바람 거세진다
    IT 2025.10.11 14:36:47
    거대 기술 기업(빅테크)을 중심으로 미국 내 ‘사무실 복귀(Return to Office·RTO)’ 움직임이 다시 거세지고 있는 가운데 구글이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시기 도입했던 ‘어디서나 근무(Work from Anywhere·WFA)’ 제도를 사실상 폐지한 것으로 밝혀졌다. 11일 미국 CNBC에 따르면 구글은 최근 내부 공지를 통해 기존 WFA 제도를 전면 개정했다. 변경된 규정에 따르면 직원이 일주일 중 단 하루만 원격으로 일하더라도 ‘1주일 사용’으로 계산된다. 기존에 허용됐던 ‘연간 4주 원격근
  • "RSV 예방주사 영유아 중복접종 막는다"…질병청, 접종 시스템에 포함
    "RSV 예방주사 영유아 중복접종 막는다"…질병청, 접종 시스템에 포함
    IT 2025.10.11 13:00:00
    질병관리청이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 예방 항체주사 베이포투스를 예방접종 등록시스템에 포함했다. 항체 기반으로 허가됐다는 이유로 그동안 관리 사각지대에 놓여왔는데 출시 1년 반 만에 제도권으로 들어온 셈이다. 이번 조치로 개인 접종 여부 관리가 가능해진 만큼 중복 접종 등 오접종 위험이 크게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9일 의료계에 따르면 질병관리청은 예방접종 등록시스템에 베이포투스 이달 1일자로 등록했다. 이번 조치로 베이포투스에 대한 개인 접종 여부 관리가 가능해졌으며 추후 접종에 따른 효과 평가도 가능해질 전망이다. 의료계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