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IT최신순인기순

※ 최근 일정 기간 동안의 인기뉴스입니다.
  • "어쩐지, 쿠팡 사이트가 계속 뜬다 했다"…'납치 광고'에 결국 칼 빼들었다
    "어쩐지, 쿠팡 사이트가 계속 뜬다 했다"…'납치 광고'에 결국 칼 빼들었다
    IT 2025.10.03 07:00:00
    클릭하지도 않았는데 갑자기 쿠팡 홈페이지나 앱으로 접속되는 이른바 '납치광고'로 이용자 불편이 가중되자 쿠팡이 악성 파트너사 10여 곳을 상대로 형사 고소를 진행하기로 했다. 1일 쿠팡은 자사 제휴마케팅 서비스인 '쿠팡 파트너스'를 악용해 이용자 의사와 무관하게 강제로 쿠팡 서비스로 이동시키는 행위인 '납치광고'를 상습적으로 저지른 악성 파트너사 10여 곳을 형사 고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쿠팡 파트너스'는 개인이나 법인이 운영하는 블로그나 SNS, 홈페이지 등에 쿠팡 상품을
  • 인텔 "세계 첫 2나노 양산"…TSMC·삼성 제쳤다
    인텔 "세계 첫 2나노 양산"…TSMC·삼성 제쳤다
    IT 2025.10.10 06:33:00
    섭씨 42도의 열기가 내리쬐는 미국 애리조나 사막 한가운데, 축구장 400개 규모의 거대한 공장이 우뚝 섰다. ‘실리콘 스트리트’라고 적힌 도로표지판과 대형 성조기는 이곳이 ‘미국 반도체의 자존심’ 인텔 오코티요 파운드리임을 알린다. 지난해 3월 조 바이든 대통령이 반도체지원법(칩스법) 보조금을 약속했던 그 공사 현장은 ‘팹52’라는 이름을 달았고, 이제 이곳에서는 미국산 2㎚(나노미터·10억분의 1m) 18A 웨이퍼가 쏟아져 나온다. 반도체 리쇼어링의 상징에서 수익성 악화에 골칫덩이로 전락할 뻔한 인텔은 미 정부
  • [단독] 삼성, HBM4E 속도전… 대역폭 '3.25TB' 겨냥
    [단독] 삼성, HBM4E 속도전… 대역폭 '3.25TB' 겨냥
    IT 2025.10.15 08:56:35
    삼성전자(005930)가 2027년 양산을 계획 중인 7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4E) 목표 대역폭을 초당 3테라바이트(TB) 이상으로 제시했다. 핀 당 속도를 초당 13기가비트(Gbps) 이상으로 높여 현 5세대(HBM3E)의 2.5배인 최대 초당 3.25TB를 구현하겠다는 계획이다. 엔비디아가 내년 사용할 6세대 HBM4 대역폭 상향을 요구한 데 따라 차세대 HBM ‘속도 경쟁’이 더욱 불붙는 구도다. 14일(현지 시간) 삼성전자는 미 산호세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오픈컴퓨트프로젝트(OCP) 글로벌 서밋 2025에서 2027년을 목표로 개발 중인 HBM4E 목표 핀 속도를
  • 카카오 “카톡 업데이트 이전으로 롤백 불가”
    카카오 “카톡 업데이트 이전으로 롤백 불가”
    IT 2025.10.14 18:39:11
    우영규 카카오(035720) 부사장이 14일 국회에서 열린 방송미디어통신위원회 대상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참석해 “(카카오톡은) 기술적으로 이전 버전으로의 롤백은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우 부사장은 이날 “2.0에서 1.0으로 돌아간다는 것이 아니라 2.0에서 2.1 버전 등이 되는 개념”이라고 설명했다. 황정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최근 카카오톡 업데이트 이후 국민의 공분이 들끓고 있다”며 “숏폼이 강제로 송출돼 미성년자 자녀를 둔 학부모로서도 당황스러웠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더 황당한 건 이 사태를 주도한 홍민택
  • 다우기술, 다우오피스에 지능형 챗봇 등 AI 기능 탑재
    다우기술, 다우오피스에 지능형 챗봇 등 AI 기능 탑재
    IT 2025.10.21 13:59:00
    다우기술(023590)은 자사의 통합 업무 플랫폼 '다우오피스'의 AI 기능을 확대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업데이트는 AI를 단순한 보조 도구가 아닌 일상 업무 속에서 자연스럽게 작동하는 '업무용 AI'로 확장시키는 데 중점을 뒀다. 다우오피스는 메일, 전자결재, 메신저, 근태관리, 인사관리 등 기업의 핵심 업무기능을 통합 제공하는 올인원 업무 플랫폼이다. 이번 개선으로 AI 작성 기능은 기존 이메일 작성에 국한되지 않고 게시판과 커뮤니티 등 협업 영역 전반으로 확대됐다. 사용자는 서비스 화면 내에서 곧바
  • 남들은 놓친 ‘빈 공간’에 집중… 日, 31번째 노벨상 수상
    남들은 놓친 ‘빈 공간’에 집중… 日, 31번째 노벨상 수상
    IT 2025.10.08 20:09:39
    2025년 노벨화학상의 영예는 금속 유기 골격체(Metal Organic Framework·MOF)라는 분자 구조를 개발한 기타가와 스스무 일본 교토대 교수, 리처드 롭슨 호주 멜버른대 교수, 오마르 M. 야기 미국 UC버클리대 교수 등 3인에 돌아갔다. 이 가운데 스스무 교수는 1990년대부터 금속이나 화합물 구조가 아닌 빈 공간, 즉 구멍의 ‘쓸모’에 천착해 연구를 해온 과학자로 알려져 있다. “구조에 구멍이 뚫려 있네요” 학생 말에 ‘번뜩’ 8일 일본 아사히신문에 따르면 스스무 교수는 2013년 6월 이 신문과 인터뷰하며 그가 MOF 연구에
  • AWS 오류에 삼성·배그·코인베이스 등 일부 '먹통'
    AWS 오류에 삼성·배그·코인베이스 등 일부 '먹통'
    IT 2025.10.20 17:33:54
    아마존웹서비스(AWS)의 데이터센터에서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오류로 인해 현재 AWS의 서비스를 사용하는 코인베이스·퍼플렉시티·캔바 등에서 전 세계적으로 장애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는 크래프톤(259960)의 대표 게임 ‘배틀그라운드’와 삼성닷컴 등에서 오류가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20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인 코인베이스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AWS 서비스 중단으로 많은 사용자가 코인베이스에 접속할 수 없는 상황을 인지하고 있다”며 “
  • "꽃집 알바인데 시급이 무려 100만원?"…면접 보러 갔다가 사장님 보고 깜짝
    "꽃집 알바인데 시급이 무려 100만원?"…면접 보러 갔다가 사장님 보고 깜짝
    IT 2025.10.28 22:33:46
    배우 박보검과 함께하는 ‘시급 100만원’ 이색 아르바이트 모집 글이 올라와 화제가 되고 있다. 당근은 오는 12월 8일까지 6주간 대규모 통합 마케팅 캠페인 '삶은당근'을 진행한다고 28일 밝혔다. '나를 둘러싼 모든 삶은 당근으로 굴러간다'는 슬로건을 내건 해당 캠페인은 중고거래, 알바, 모임, 동네가게, 부동산, 중고차, 페이 등 당근의 다양한 서비스를 통해 사람들이 연결되는 삶에서 영감을 받아 기획됐다. '삶은당근' 캠페인 릴레이 이벤트로는 당근의 서비스 특성을 살린 다양한 프로그램이 준
  • 삼성 HBM4E '속도 전쟁'…2.5배 상향
    삼성 HBM4E '속도 전쟁'…2.5배 상향
    IT 2025.10.15 17:43:59
    삼성전자(005930)가 2년 뒤 양산할 예정인 7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인 HBM4E의 목표 대역폭을 현 5세대(HBM3E)의 2.5배로 제시했다. 6세대인 HBM4 개발 초기부터 고대역폭 전략에 나선 삼성전자가 차세대에서도 공격적인 목표를 내놓은 것이다. 엔비디아의 대역폭 상향 압박에 메모리 업계에서 ‘속도 전쟁’이 붙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삼성전자는 14일(현지 시간) 미국 캘리포니아 새너제이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오픈컴퓨트프로젝트(OCP) 글로벌 서밋 2025’에서 HBM4E 핀 속도 목표치를 13Gbps(초당 기가비트) 이상으로 제시했
  • [단독] AI·디지털트윈 직접 챙긴다…네이버, 대표 직속조직 신설
    [단독] AI·디지털트윈 직접 챙긴다…네이버, 대표 직속조직 신설
    IT 2025.10.13 17:29:47
    네이버가 인공지능(AI)·디지털 트윈·스마트시티 등 미래 기술 사업화를 위해 최수연 대표 직속 조직을 신설한 것으로 확인됐다. 조직명은 ‘R-TF’로, 글로벌 기업간거래(B2B)·기업과정부간거래(B2G) 사업 확장까지 추진하게 된다. 향후 피지컬 AI 등 선행 기술 사업화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 창업자인 이해진 이사회 의장 복귀 이후 네이버의 글로벌 확장 전략이 가속화는 분위기다.13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네이버는 최근 최고경영자(CEO) 직속 ‘R-TF’를 신설했다. R-TF는 네이버랩스 등이 연구해
  • 6만 원 깨진 카카오vs25만 원 맴도는 네이버…연휴 끝, IT 대장주는 누구?
    6만 원 깨진 카카오vs25만 원 맴도는 네이버…연휴 끝, IT 대장주는 누구?
    IT 2025.10.09 08:21:00
    추석 황금 연휴가 막바지에 이른 가운데 국내 대표 플랫폼 기업인 카카오(035720)와 네이버에 대한 관심사가 커지고 있다. 두 기업은 추석 연휴 이후 곧바로 인공지능(AI) 서비스 등을 앞세워 기업 레벨 업그레이드를 꾀하겠다는 전략이다. “드디어 챗GPT 붙는다”…카카오 AI 시동 9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카카오는 추석 연휴가 끝난 이후 순차적으로 업데이트를 통해 AI 서비스를 선보일 방침이다. 특히 기대를 모으고 있는 것은 오픈AI의 생성형 AI ‘챗GPT’를 카카오톡에서 곧바로 쓸 수 있게 된다는 점이다. 카카오는 이달
  • 구글 양자컴, 최강 슈퍼컴 1.3만배 성능 증명
    구글 양자컴, 최강 슈퍼컴 1.3만배 성능 증명
    IT 2025.10.23 06:55:00
    구글이 현존 최강의 슈퍼컴퓨터보다 1만 배 이상 빠른 양자컴퓨터 기술을 선보였다. 또 양자컴퓨터로 그동안 해결하지 못했던 신약과 신소재 등 물질 구조를 정밀 분석하기 위한 물리학 난제를 푸는 데 성공함으로써 본격적인 상용화 가능성을 열었다. 구글은 신기술을 5년 내 소재 분석 등에 상용화하겠다는 목표를 내걸며 점점 격해지는 글로벌 양자컴퓨터 경쟁에서 주도권을 노린다. 구글 퀀텀 인공지능(AI) 연구진은 23일 최신 양자컴퓨터 칩 ‘윌로’와 양자 알고리즘 ‘퀀텀 에코스(양자 메아리)’를 활용해 현존 최고 성능의 슈퍼
  • 오늘부터 카톡서 '챗GPT' 쓴다…카카오맵·선물하기 등과 연계
    오늘부터 카톡서 '챗GPT' 쓴다…카카오맵·선물하기 등과 연계
    IT 2025.10.28 10:25:06
    카카오(035720)가 카카오톡에서 오픈AI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를 바로 사용할 수 있는 ‘챗GPT 포 카카오’를 출시한다고 28일 밝혔다. ‘챗GPT 포 카카오’는 오픈AI와 긴밀한 협업을 통해 개발한 것으로, 카카오 플랫폼 및 다양한 서비스를 최신 오픈AI 기술과 결합해 이용자에게 혁신적인 AI 경험을 제공한다. 챗GPT가 카카오톡 안에 들어옴으로써 5000만 카카오톡 이용자들이 일상 속에서 손쉽게 AI를 경험할 수 있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카카오톡 이용자는 채팅탭 상단에 위치한 챗GPT 버튼을 클릭해 바로 서비스를 사용할 수
  • [속보] 머스크 "삼성, TSMC와 AI5 칩셋 공동 제작"
    [속보] 머스크 "삼성, TSMC와 AI5 칩셋 공동 제작"
    IT 2025.10.23 07:46:03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자체 인공지능(AI) 칩셋 ‘AI5’ 제조에 삼성전자(005930)가 참여한다고 밝혔다. 삼성전자가 최근 수주한 차세대 칩셋 AI6은 물론 기존 TSMC가 전량 수주한 것으로 알려져 있던 AI5도 공동 제조한다는 의미다. 22일(현지 시간) 머스크는 테슬라 실적발표 후 이뤄진 컨퍼런스콜에서 “이번 기회에 명확히 하고 싶다”며 “AI5 칩은 TSMC와 삼성전자 모두 제조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테슬라 현 세대 자율주행 칩셋인 AI4는 현재 삼성전자가 생산 중이다. 다음 세대인 AI5는 TSMC가, 그 다음 세대
  • "최소 인력만 갖춰 세금 빼먹기"…퇴출 수순 밟는 '눈속임 연구소'
    "최소 인력만 갖춰 세금 빼먹기"…퇴출 수순 밟는 '눈속임 연구소'
    IT 2025.10.27 18:10:15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A씨는 최근 5년 넘게 유지해온 기업부설연구소를 없애기로 했다. 정부 실사에서 ‘조건부 취소’ 처분을 받았기 때문이다. A씨는 “연구소를 취소하면 세제 공제 혜택을 잃지만, 일정 인력을 계속 고용해야 하고 관리 차원에서 외부 컨설팅까지 받아야 한다”며 “혜택보다 부담이 커 결국 없애는 편이 낫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기간 폭발적으로 늘었던 기업부설연구소가 최근 급격히 줄고 있다. 특히 바이오·헬스케어 업계와 스타트업 업계를 중심으로 한 ‘무늬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