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메뉴

검색
  • LH 지방 '악성 미분양' 매입 시작…감정평가액 83% 상한[집슐랭]
    LH 지방 '악성 미분양' 매입 시작…감정평가액 83% 상한[집슐랭]
    분양 2025.03.20 11:00:00
    정부가 다음 달부터 지방 전 지역의 준공 후 미분양 주택 3000가구를 감정평가액의 83% 아래로 매입한다. 국토교통부와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오는 21일부터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주택 3000가구에 대한 매입공고를 실시한다고 20일 밝혔다. 접수 기간은 다음 달 1일부터 약 한 달 간이다. 이는 지난 달 국토부가 준공 후 미분양 주택 재고 증가에 따른 건설경기 악화를 대응하기 위해 마련한 대책의 일환이다. 매입 대상 주택은 입주자 모집공고 절차를 거친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 전 지역의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다. 신청 주택의 매입
  • 구미하이테크밸리에 2740가구…대광건영, ‘신확장 로제비앙 메가시티’ 4월 공급
    구미하이테크밸리에 2740가구…대광건영, ‘신확장 로제비앙 메가시티’ 4월 공급
    분양 2025.03.20 10:28:32
    대광건영이 구미국가산업단지 하이테크밸리(5공단)에서 ‘신확장 로제비앙 메가시티’를 4월 공급할 예정이라고 20일 밝혔다. ‘신확장 로제비앙 메가시티’는 구미 하이테크밸리 A-10 블록 (구미시 산동읍 동곡리 산60-3번지)에 지하 4층~지상 최고 26층, 전용면적 59 ~ 84㎡ 31개 동 총 2740가구 규모로 조성되는 구미시 최대 주거단지다. 공공지원 민간 임대아파트로 최대 10년간 임대가 보장되며 2년 단위로 계약을 갱신할 수 있다. 임차기간 내에는 취득세와 재산세 등 세금 부담이 없으며 주택 수에서도 제외된다. 19세 이상
  • 1월 전국 부동산 시장 하락세… 서울 아파트 거래금액만 상승
    1월 전국 부동산 시장 하락세… 서울 아파트 거래금액만 상승
    분양 2025.03.20 09:23:17
    부동산 시장이 3개월 연속 내리막을 걷는 가운데 서울 아파트 거래금액만 유일하게 소폭 상승했다. 20일 부동산플래닛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기반으로 발표한 '2025년 1월 전국 부동산 유형별 매매시장 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1월 전국 부동산 거래량은 6만 3656건으로 전월 대비 20.2% 감소했다. 거래금액 역시 20조 7584억 원으로 전월 대비 26.5% 줄어들며 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로써 전국 부동산 시장은 지난해 11월부터 3개월 연속 하락세를 이어가고 있다. 전년 동월과 비교해도 거래
  • 내방역 일대에 35층 규모 주상복합 들어선다[집슐랭]
    내방역 일대에 35층 규모 주상복합 들어선다[집슐랭]
    분양 2025.03.20 09:21:21
    서울 서초구 방배동 내방역 일대에 35층 규모 주상복합 건물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지난 19일 제4차 도시계획위원회를 열어 내방역 역세권활성화사업 도시정비형 재개발구역 지정 및 정비계획을 수정 가결했다고 20일 밝혔다. 대상지는 방배동 872-11번지 일대의 내방역 역세권 활성화 도시정비형 재개발 정비구역이다. 서리풀터널 개통과 주변 대규모 개발사업 등이 인근에서 추진 중이다. 이번 정비계획 결정으로 이 일대 복합개발을 통해 용적률 700% 이하, 지하 6층, 지상 35층, 연면적 5만7603㎡ 규모의 판매시설, 문화·
  • "이미 상승 중이었다" 서울시 토허구역 해제 오판[집슐랭]
    "이미 상승 중이었다" 서울시 토허구역 해제 오판[집슐랭]
    분양 2025.03.20 07:00:00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급격한 집값 상승은 없다고 단언해온 서울시가 19일 토허구역 해제 이후 5주 만에 강남 3구와 용산을 재지정하는 촌극을 연출했다. 일부 하락 거래를 근거로 내세워 각종 집값 상승 지표는 외면하더니 국토교통부 등 정부의 단호한 집값 안정화 방침에 끝내 실책을 인정한 셈이다. 이날 서울시의 백기투항으로 토허구역 해제 시점부터 성급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서울시는 2월 12일 강남 3구에 대한 토허구역 해제를 발표하며 강남 집값이 안정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강남 3구는 올해 초부터 토허구역 해제 전까
  • 일원역 저층단지 재건축 속도낸다
    일원역 저층단지 재건축 속도낸다
    분양 2025.03.20 07:00:00
    수서택지개발지구에 속한 일원역 인근 저층 아파트 단지들이 연이어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하고 재건축을 위한 시동을 걸었다. 서울시가 지난해 일원역 인근 저층 아파트의 용도지역을 2종(7층) 일반주거지역에서 2종 일반주거지역으로 종 상향을 예고하며 사업성을 확보한 일원역 저층 아파트 단지들은 정밀안전진단 통과로 성공적인 재건축의 첫발을 디뎠다. 강남구청은 19일 수서택지개발지구의 한솔아파트와 청솔빌리지가 이달 조건부 재건축 판정을 받으며 정밀안전진단을 통과했다고 밝혔다.지난해 6월과 7월에는 각각 상록수아파트, 가람아파트가 정밀안전진단을
  • 정비구역 해제' 장위12구역, 1386가구로 탈바꿈[집슐랭]
    정비구역 해제' 장위12구역, 1386가구로 탈바꿈[집슐랭]
    분양 2025.03.20 07:00:00
    서울 성북구 장위12구역이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을 통해 1386가구 규모의 공동주택으로 탈바꿈한다. 국토교통부는 장위12구역 일대를 도심 공공주택 복합지구로 지정한다고 19일 밝혔다.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은 민간 정비가 어려운 노후 도심을 대상으로 공공이 주도해 용적률 등 혜택을 주는 정비 방식이다. 이곳에는 총 1386가구 규모의 공동주택이 들어설 예정이다. 2027년 복합사업계획 승인을 받아 2029년 착공하는 게 목표다. 장위 재정비촉진지구(뉴타운)에 속해있는 장위12구역은 2014년 부동산 경기 여파로 정비구역에서 해제된
  • “호가 2억 낮출게요”…토허구역 재지정에 급해진 강남 집주인[집슐랭]
    “호가 2억 낮출게요”…토허구역 재지정에 급해진 강남 집주인[집슐랭]
    분양 2025.03.20 07:00:00
    토지거래허가제 확대 재지정 여파에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아파트 주요 단지에서는 호가를 낮춘 매물들이 속속 등장했다. 지난달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호가가 3억~4억 원씩 치솟았지만 토허구역 재지정 발표에 호가가 낮춰지고 있는 상황이다. 강남 지역에서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막히면서 임차 매물이 줄어 전월세 가격이 오르고 투자 수요가 분산돼 풍선 효과로 마포·성동구 등의 집값이 급등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 잠실동 잠실엘스 전용면적 84㎡ 매
  • 신축 공급 끊긴 지방 소도시의 역설…"강남 상승률 넘본다"[집슐랭]
    신축 공급 끊긴 지방 소도시의 역설…"강남 상승률 넘본다"[집슐랭]
    분양 2025.03.20 07:00:00
    지방 미분양 문제가 심각하지만 경북 내륙 소도시는 아파트값이 서울 주요 지역보다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경북 상주시의 아파트 매매 가격은 지난해 12% 이상 올라 상승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올해 들어 경북 문경시가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비슷한 수준의 상승률을 기록할 정도다. 지방 건설업계 침체 및 인구 감소로 아파트가 새로 지어지지 않는 반면 신축 수요는 계속돼 나타난 ‘불황형 가격 상승’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문경시는 올해 1월 첫째 주(6일 기준)부터 3월
  • 40만채 갭투자 봉쇄…"집값 더 뛰면 규제지역 늘릴수도"[집슐랭]
    40만채 갭투자 봉쇄…"집값 더 뛰면 규제지역 늘릴수도"[집슐랭]
    분양 2025.03.19 16:46:52
    정부가 서울 전체 면적의 30%에 육박하는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와 용산구의 모든 아파트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한 것은 그만큼 집값 상승 열기가 확산할 가능성이 높다는 판단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같은 조치에도 불구하고 집값이 과열 양상을 보이면 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를 추가로 지정한다. 19일 정부가 발표한 ‘주택 시장 안정화 방안’에 따르면 이달 24일부터 9월 30일까지 서울 내 토지거래허가구역은 기존 52.79㎢에서 163.96㎢로 3배 확대된다. 이는 서울시 전체 면
  • "강남 집값 상승률 못지 않네"…아파트 매매가격 껑충 뛴 '문경·상주' 왜?
    "강남 집값 상승률 못지 않네"…아파트 매매가격 껑충 뛴 '문경·상주' 왜?
    분양 2025.03.19 16:46:45
    지방 미분양 문제가 심각하지만 경북 내륙 소도시는 아파트값이 서울 주요 지역보다 가파르게 오르고 있다. 경북 상주시의 아파트 매매 가격은 지난해 12% 이상 올라 상승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았다. 올해 들어 경북 문경시가 서울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비슷한 수준의 상승률을 기록할 정도다. 지방 건설업계 침체 및 인구 감소로 아파트가 새로 지어지지 않는 반면 신축 수요는 계속돼 나타난 ‘불황형 가격 상승’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19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문경시는 올해 1월 첫째 주(6일 기준)부터 3월
  • '토허구역 번복'에 대치·잠실 호가 2억 뚝…'풍선 효과' 마포·성동 들썩이나[집슐랭]
    '토허구역 번복'에 대치·잠실 호가 2억 뚝…'풍선 효과' 마포·성동 들썩이나[집슐랭]
    분양 2025.03.19 16:46:25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재지정 여파에 강남3구(강남·서초·송파구) 아파트 주요 단지에서는 호가를 낮춘 매물들이 속속 등장했다. 지난달 토허구역 해제 이후 호가가 3억~4억 원씩 치솟았지만 구역 재지정 발표에 호가가 낮춰지고 있는 상황이다. 강남 지역에서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막히면서 임차 매물이 줄어 전월세 가격이 오르고 투자 수요가 분산돼 풍선 효과로 마포·성동구 등의 집값이 급등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 송파구 잠실동 잠실엘스 전용면적 84㎡ 매매 호가는
  • HUG, 500호 규모 든든전세주택 입주자 모집 실시
    HUG, 500호 규모 든든전세주택 입주자 모집 실시
    분양 2025.03.19 16:25:35
    주택도시보증공사(HUG)는 오는 26일부터 총 500호 규모의 제 6차 든든전세주택 입주자 모집을 실시한다고 19일 밝혔다. 든든전세주택은 HUG가 전세보증금을 대신 갚아준 주택을 직접 매입하여 공공임대주택으로 공급하는 사업이다. 이번 모집 주택은 서울, 인천, 경기 부천 등 수도권 도심 지역에 위치한다. HUG가 지난해 7월부터 다섯 차례에 걸쳐 진행한 450호 규모 든든전세주택 모집에는 약 7만 1000명이 신청해 158대 1의 평균 경쟁률을 보였다. 든든전세주택은 무주택 세대 구성원이라면 나이·소득·자
  • 자기자본 40% 넘는 사업장 책임준공 면제
    자기자본 40% 넘는 사업장 책임준공 면제
    분양 2025.03.19 15:41:04
    다음 달부터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의 자기자본비율이 40% 이상인 사업장은 책임준공 의무가 면제된다. 천재지변·내란·전쟁 때만 가능했던 책임준공 연장은 원자재 수급 불균형, 법령 제·개정, 전염병, 기상이변 등 다양한 상황에서 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금융위원회·국토교통부 등 관계 기관은 19일 부동산PF 상황 점검회의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책임준공 개선 방안을 발표했다. 책임준공은 PF 사업에서 정해진 기간 내 공사를 끝내지 못하면 시공사가 채무 전부를 인수하겠다는 내용
  • 토허구역 풀어도 집값 급등 없다더니…서울시 결국 백기[집슐랭]
    토허구역 풀어도 집값 급등 없다더니…서울시 결국 백기[집슐랭]
    분양 2025.03.19 15:15:40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이후 급격한 집값 상승은 없다고 단언해온 서울시가 19일 토허구역 해제 이후 5주 만에 강남 3구와 용산을 재지정하는 촌극을 연출했다. 일부 하락 거래를 근거로 내세워 각종 집값 상승 지표는 외면하더니 국토교통부 등 정부의 단호한 집값 안정화 방침에 끝내 실책을 인정한 셈이다. 이날 서울시의 백기투항으로 토허구역 해제 시점부터 성급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서울시는 2월 12일 강남 3구에 대한 토허구역 해제를 발표하며 강남 집값이 안정화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강남 3구는 올해 초부터 토허구역 해제 전까
서경스페셜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6 트윈트리타워 B동 14~16층 대표전화 : 02) 724-8600
상호 : 서울경제신문사업자번호 : 208-81-10310대표자 : 손동영등록번호 : 서울 가 00224등록일자 : 1988.05.13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4065 등록일자 : 2016.04.26발행일자 : 2016.04.01발행 ·편집인 : 손동영청소년보호책임자 : 신한수
서울경제의 모든 콘텐트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복사·배포 등은 법적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Copyright ⓒ Sedaily, All right reserved

서울경제를 팔로우하세요!

서울경제신문

텔레그램 뉴스채널

서경 마켓시그널

헬로홈즈

미미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