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은 전직 대통령 가운데 노무현 전 대통령을 가장 긍정적으로 평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12·3 비상계엄 사태의 책임자로 지목된 윤석열 전 대통령은 부정평가 1위라는 불명예를 안았다. 현직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 평가는 비교적 안정세를 보였으며, 정당 지형은 민주당 우세가 이어졌다.
한국갤럽이 25~27일 전국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해 28일 발표한 ‘전직 대통령 개별 공과 평가’에 따르면 ‘대통령으로서 잘한 일이 많다’는 응답 비율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68%로 가장 높았다. 이어 △박정희 62% △김대중 60% △김영삼 42% △이명박 35% △문재인 33% 순으로 긍정 평가가 우세했다.
반면 ‘잘못한 일이 많다’는 응답은 △윤석열 77% △전두환 68% △박근혜 65% △노태우 50% △이명박 46% △문재인 44% 순으로 집계됐다. 특히 이번 조사에 처음 포함된 윤석열 전 대통령은 부정평가 77%로 최악의 평가를 기록, 지난해 탄핵 직전 마지막 직무 긍정률(11%)과도 유사한 수준을 보였다.
현직 이재명 대통령의 직무 수행 평가는 긍정 60%, 부정 31%였다. 긍정 이유로는 △외교(43%) △경제·민생(11%) △직무 능력(6%) 등이 꼽혔다. 부정 이유는 △경제·민생(14%) △도덕성·재판 관련 논란(12%) △대장동·검찰 이슈(6%) 등이었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2%, 국민의힘 24%로 나타나 격차가 큰 편이었다.
조국혁신당·개혁신당은 각각 3%, 진보당은 1%였으며, 지지 정당이 없는 무당층은 26%로 조사됐다.
이번 조사는 이동통신 3사의 무선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응답률은 11.9%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aftershock@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