긴 추석연휴가 있던 10월 소매판매가 증가 전환했다. 전달 소비쿠폰 지급에도 불구하고 감소세를 보인 기저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설비투자와 건설기성은 큰 폭으로 감소했다.
28일 국가데이터처가 발표한 ‘10월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소매판매액 지수는 전월 대비 3.5% 증가했다. 소매판매는 1차 소비쿠폰 지급이 시작된 지난 7월 2.7%로 늘었지만 8월 2.4% 감소세로 전환했다. 2차 소비 쿠폰 지급을 개시한 9월에도 또다시 0.1% 감소하면서 두 달 연속 마이너스를 보인 바 있다. 10월에는 승용차 등 내구재(-4.9%)에서 판매가 줄었으나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7.0%), 의복 등 준내구재(5.1%)에서 판매가 늘었다.
건설과 설비 투자는 큰 폭으로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반도체제조용 기계 등 기계류(-12.2%)와 자동차 등 운송장비(-18.4%)에서 투자가 모두 줄면서 전월 대비 14.1% 감소했다. 설비투자는 9월 12.6% 증가한 바 있다. 건설기성은 건축(-23.0%) 및 토목(-15.1%)에서 공사실적이 모두 줄면서 전월 대비 20.9% 줄었다. 건설기성 역시 9월에는 12.3% 증가한 만큼 한 달 만에 큰 폭의 감소세로 전환한 셈이다.
생산도 줄었다. 전산업생산은 광공업, 건설업, 서비스업에서 생산이 줄면서 전월 대비 2.5% 감소했다. 특히 반도체가 최근 이어진 가격 상승 영향으로 26.5% 줄어 1982년 10월 이후 43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데이터처는 “반도체 업황은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 만큼 일시적인 가격 급등에 의한 기저효과로 보인다”고 밝혔다.
경기 동행종합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0.4포인트 하락했다. 선행 순환변동치는 전월 대비 보합세를 보였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shin@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