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달러당 1500원 선을 위협할 정도로 고공 행진하고 있는 원·달러 환율을 잡기 위해 국민연금을 활용한 환율 안정 대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국민연금이 해외 자산에 대해 최대 ±5% 범위에서 재량 운용할 수 있는 ‘전술적 환 헤지’를 적극 사용하고 한국은행과 외환스와프 계약을 연장하는 방안 등이 유력하게 거론된다.
기획재정부와 보건복지부·한은·국민연금은 24일 4자 협의체를 구성하고 첫 회의를 열어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확대가 외환시장에 미치는 영향 등을 점검해나기로 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앞으로 협의체에서 국민연금의 수익성과 외환시장 안정을 조화롭게 달성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에서는 이번 협의체 가동을 통해 국민연금이 환율시장의 소방수로 나설 가능성이 커진 것으로 보고 있다. 환율이 미리 정해놓은 기준치보다 높아지면 달러 표시 해외자산을 매각해 달러 유입 효과를 내는 환 헤지는 환율 안정에는 도움이 되지만 국민연금의 수익률에는 부정적 영향을 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4자 협의체는 향후 환율과 수익성 사이에서 기준환율과 환 헤지 범위 확대 여부 등을 결정해 최적의 해법을 모색할 것으로 보인다.
시장에서도 국민연금 등판 외에는 환율을 잡을 뾰족한 방법이 없다는 평가가 많다. 실제 이날 원·달러 환율은 전 거래일보다 1.5원 오른 1477.1원에 주간 거래를 마쳐 6거래일 연속 상승했다. 외환 당국의 구두 개입도 약발이 통하지 않는다는 게 시장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반면 국민연금의 시장 개입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김홍기 한남대 경제학과 교수는 “국민연금의 미션에 환율 안정은 포함돼 있지 않다”며 “자칫 국민 노후 안정이라는 목적이 흔들릴 수 있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ingaghi@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