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광주·구미·부산을 잇는 남부권 반도체 벨트를 조성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수도권에 집중된 반도체 공급망을 비수도권으로 확장해 국가 전체 경쟁력을 끌어올린다는 전략이다.
23일 산업통상부와 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에 따르면 정부는 이 같은 내용의 ‘반도체 산업 경쟁력 강화 방안’을 수립하고 있다. 지역별로 보면 광주는 반도체 패키징 기지로 육성하고 부산에는 전력반도체 관련 기업이 집중 배치된다. 구미는 반도체 산업을 후방에서 지원하는 소재·부품·장비 단지로 한 단계 더 업그레이드시키기로 했다.
정부는 또한 광주·구미·부산을 잇는 삼각 벨트에 반도체 마더팩토리(최선단 공장)를 집중 배치해 국내 제조업 공동화에도 대응하기로 했다. 마더팩토리는 최첨단 기술과 공정을 시험하면서 기술 허브 역할을 하는 전략 공장이다. 남부권의 경우 반도체 산업에 필수적인 대규모 전력·용수 조달이 수도권보다 용이해 입지적으로 더 유리할 수 있다.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투자하는 용인반도체산단에 대한 지원도 더욱 강화한다. 정부의 한 고위 관계자는 “인공지능(AI), 반도체 등 전략산업에 대한 각국의 보호주의가 강화되고 있어 새로운 반도체 산업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라며 “AI 시대에 급증할 반도체 수요를 뒷받침하기 위해 수도권과 지방의 전략적 투자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재계에서는 투자 주체인 기업에 대한 과감한 인센티브와 규제 완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정부가 전력 등 인프라를 깔아놓아도 기업이 투자하지 않으면 반도체 벨트 프로젝트의 성공이 어렵기 때문이다. 재계의 한 고위 관계자는 “요즘 최고급 두뇌는 판교 이남으로 내려가지 않겠다고 하는 성향이 더욱 강해지고 있다”며 “입지나 세제와 같은 유인책도 좋지만 인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대책이 무엇보다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jo@sedaily.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