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월세가 사상 최고치를 찍으면서 임차인의 부담이 커지고 있다. 전세보다 월세를 선택하는 비중도 크게 늘었고, 신규 공급 감소·저금리 기조·다주택자 규제·대출 강화가 겹치면서 이른바 ‘월세화’ 흐름이 더욱 확산하는 모습이다.
17일 국토교통부 자료에 따르면 지난 9월 서울 전·월세 거래는 총 7만24건이며, 이 가운데 월세 거래는 4만6144건(65.9%)으로 전세(34.1%)보다 월등히 많았다.
서울의 월세 비중(1~9월 누적)은 2023년 56.6%, 2024년 60.1%에서 올해는 60% 중반까지 올라 매년 상승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특히 같은 달 서울 아파트 월세통합가격지수는 101.51로 통계 작성 이래 최고치를 기록했다. 평균 월세도 1년 전 126만원 대비 14.2%(18만원) 오른 144만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4인 가구 중위소득(약 609만원)의 20~25% 수준으로, 가계 소득 상당 부분이 주거비로 빠져나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정부의 전세·주택담보대출 규제 강화로 실수요자들의 부담은 더욱 커지는 분위기다. 신혼부부·청년층은 전세 대출 한도가 줄어 월세로 내몰리고, 전세 매물 자체가 부족해 실질적인 주거 선택지가 크게 좁아졌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장에서는 전세 매물 감소→전세 가격 상승→월세 전환 증가→월세 가격 추가 상승이라는 악순환 구조가 뚜렷하게 나타난다고 진단한다. 다주택 규제와 세금 부담, 신규 입주 물량 부족, 저금리 환경도 월세 거래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힌다.
서정렬 영산대 부동산학과 교수는 "서울과 수도권은 월세화가 단순 경향이 아니라 방향성까지 월세 쏠림으로 굳어졌다"며 "전세가 줄고, 금리 인하가 맞물리면 월세가격이 덩달아 오를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newsuyeon@sedaily.com








